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주 탐사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머 큐리’를 시작으로 ‘프로젝트 제미니’를 거쳐 인간을 달 에 총 6차례나 착륙시킨 ‘프로젝트 아폴로’가 모두 KSC에서 이뤄졌다. 영화 ‘퍼스트맨’ 개봉을 계기로 1년 반 전 기억을 꺼 냈다. KSC 방문객 콤플렉스(visitor complex)는 입구 부터 실물 크기의 로켓 5~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평발이라는 이유로 달리기를 두려워하게 만들었던 장애물이 사라진 셈이다. 달리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운동이다. 누구나 효과를 볼 수 있는 완벽한 운동이기도 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보길 강력 추천한다. 마라톤 왕초보인 기자도 해냈다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스쳐 지나가거나 표면에 잠시 접촉해 시료를 채취한 적은 있었지만, 소행성 표면에 인간이 만든 물체가 직접 닿은 것은 미네르바가 처음입니다. 미네르바는 로버-1A와 로버-1B의 2대로 구성돼 있습니다. 육각형 통 모양에 지름 18cm, 높이 7cm, 무게 1.1kg의 작은 로봇입니다. 카메라로 류구 표면의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감성, 경험, 신체 요인을 고려해 제품 디자인에 적용하는 인간공학도 산업공학과의 대표적인 연구 분야 중하나다. 윤명환 교수팀은 삼성전자와 함께 2014년 출시된 ‘갤럭시 노트 엣지’를 개발했다. 박종헌 교수는 2017년 카카오가 설립한 딥러닝 연구 그룹인 ‘초지능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결과 현대 인류에게 남아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총 152개이며, 이 유전자가 모두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등 모든 RNA바이러스와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유전자들이 만들어내는 단백질은 바이러스와 직접 맞서 싸우거나, 세포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바늘구멍이 마치 동굴의 입구처럼 크다. 작품 ‘신뢰’는 2017년 기네스북에 ‘인간 형상을 한 가장 작은 조각’으로 등재됐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80μm, 100μm, 20μm로 전체 크기가 머리카락 한 올 두께보다 작다. 80μm는 사람의 손톱이 5~6시간 동안 자라는 길이와 비슷하다. 오른쪽 박스는 여자의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점은 상처 등을 통해 체액이 직접 교환돼야 감염된다는 것이다. 이런 병원체로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나 매독균 등 성병 관련 병원체가 있다. 이들은 주로 체액 등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다만 이는 야귀의 특징인 짧은 잠복기에는 들어맞지 않는다. HIV는 감염 이후 길게는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양초로 달의 밝기를 측정하다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가장 오래 된 단위는 양초다. 172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피에르 부게르는 표준촉광을 기준으로 달의 밝기를 측정했다. 양초를 뜻하는 ‘캔들(candle)’과 오늘날 광도의 단위로 쓰이는 ‘칸델라’의 이름은 공통적으로 ‘빛나다’ ...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매력을 '확장성'이라고 말했다. 이 씨는 “산업공학은 컴퓨 터공학, 최적화, 인간공학, 심리학, 경영학, 경제학 등 수많은 학문과 연결될 수 있다”며 “어떤 학문과도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 끌려 산업공학과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 씨는 수능을 두 번 치른 재수생이다. 그는 “재수할때 첫 ...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때문이라고 주장했어. 장내미생물이 만드는 물질 중 일부가 우연히 뇌에 영향을 미쳐 인간의 기분을 바꾸었고, 이런 물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자연 선택되어 더 잘 생존할 수 있었다는 거야. 그러니까 우리 같이 도와가며 잘살아 보자고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