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주 탐사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머 큐리’를 시작으로 ‘프로젝트 제미니’를 거쳐 인간을 달 에 총 6차례나 착륙시킨 ‘프로젝트 아폴로’가 모두 KSC에서 이뤄졌다. 영화 ‘퍼스트맨’ 개봉을 계기로 1년 반 전 기억을 꺼 냈다. KSC 방문객 콤플렉스(visitor complex)는 입구 부터 실물 크기의 로켓 5~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평발이라는 이유로 달리기를 두려워하게 만들었던 장애물이 사라진 셈이다. 달리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운동이다. 누구나 효과를 볼 수 있는 완벽한 운동이기도 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보길 강력 추천한다. 마라톤 왕초보인 기자도 해냈다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스쳐 지나가거나 표면에 잠시 접촉해 시료를 채취한 적은 있었지만, 소행성 표면에 인간이 만든 물체가 직접 닿은 것은 미네르바가 처음입니다. 미네르바는 로버-1A와 로버-1B의 2대로 구성돼 있습니다. 육각형 통 모양에 지름 18cm, 높이 7cm, 무게 1.1kg의 작은 로봇입니다. 카메라로 류구 표면의 ...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때문이라고 주장했어. 장내미생물이 만드는 물질 중 일부가 우연히 뇌에 영향을 미쳐 인간의 기분을 바꾸었고, 이런 물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자연 선택되어 더 잘 생존할 수 있었다는 거야. 그러니까 우리 같이 도와가며 잘살아 보자고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바늘구멍이 마치 동굴의 입구처럼 크다. 작품 ‘신뢰’는 2017년 기네스북에 ‘인간 형상을 한 가장 작은 조각’으로 등재됐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80μm, 100μm, 20μm로 전체 크기가 머리카락 한 올 두께보다 작다. 80μm는 사람의 손톱이 5~6시간 동안 자라는 길이와 비슷하다. 오른쪽 박스는 여자의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 있게 됐다. 빵과 우리의 인연은 꽤 오래 전부터 시작됐다. 기원전 1만7000년 전부터 인간은 밀 종자를 껍질째 씹어 먹기 시작했다. 그러다 본격적으로 밀을 재배하기 시작한 때는 기원전 9600년 전부터였다. 이라크를 길게 지나는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유역이 주요 생산지였다. 기원전 4000년 전,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조건은 전 세계가 보편적인 기준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느 한 나라에서만 인간 배아 연구가 15일 이상 가능하다고 하면 관련 연구가 모두 그 나라로 몰릴 수도 있으니까요. 14일 논쟁의 결말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암 환자들에게 재발만큼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또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1] 세계 인구와 인구 문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 있으며, 환경에 적응했던 과거와 달리 환경을 개척하고 극복할 수 있게 됐다. 따라서 인간 거주 조건이 인문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아졌다. 산업이 발달한 지역에 인구가 밀집하는데, 일자리가 풍부하고 임금 수준이 높고 도시가 발달했기 때문이다. 대표 적인 지역으로는 서부 유럽, 미국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얼마 남겨두지 않은 지난 10월 17일 24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chat]송찬우_ 동물에게도 인간과 같은 권리가 있다는 ‘동물권’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동물의 복지 확대 등 동물권 운동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데,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동물원과 동물에 대한 인식을 바꿔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0년대 초에는 스티븐 블락 미국 스탠퍼드대 응용물리및생물학과 교수가 광집게를 개량해 인간이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힘인 피코뉴턴(pN·1pN은 1조 분의 1N) 단위의 힘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근육 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 같은 분자 모터의 힘이나, DNA 등 유기체의 기계적인 특성을 연구할 수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