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로보틱스’는 한헌수 현 총장이 교수 시절 주축이 돼 만든 소모임이다. 23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 소모임은 2008년 세계로봇축구대회 3위를 시작으로 2009년, 2011년, 2013년에 3차례나 우승을 기록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시대와 기술은 계속해서 변하고, 사회가 대학에 바라는 인재상도 계속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세계 최초로 비행에 성공한 이래 110여 년에 걸쳐 계속 발전한 비행기에 비하면 그 역사가 짧지요. 하지만 인류의 우주 진출은 눈부신 속도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답니다. 보이저 1호는 인류가 만든 물체 가운데 최초로 태양계 밖으로 나갔고, 여러 행성과 위성에도 무인 탐사선이 착착 내려앉아 매일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요시히토 교수팀은 최신 컴퓨터 기법을 통해 후각수용체 유전자, 즉 OR유전자의 진화 역사도 추적했습니다. 1만 가지 종류의 OR유전자를 연구한 결과, 13종의 포유동물이 공유한 것은 겨우 3개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어떤 원시 유전자는 코끼리에서 크게 확장돼 84개의 유전자로 증가한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노후생활도 조만간 끝이 날지도 모른다. 1년에 150여 종의 생물이 사라지고 있는 지구역사상 최악의 멸종사건이 현재 진행중이다. 현재 수많은 파충류들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호협약(CITES)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보호 받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삶의 터전을 잃고 있으며, 수많은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연이어 들이박았다. 이 일로 2977명이 사망했고 6291명 이상이 다쳐 최악의 테러로 역사에 남게 됐다. 이에 미국 당국은 누가 이 테러의 핵심인물인지 알아내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다. 이때 혜성처럼 나타난 사람이 수학자이자 사회네트워크 분석가인 발디스 크렙스다.그는 언론을 통해 공개된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국립 모스크가 생기기 전까지 쿠알라룸푸르 모스크의 중심이었지요. 둘러보니 과연 오랜 역사와 명성에 걸맞은 아름다움과 경건함을 느낄 수 있었어요. 붉은 벽돌과 흰색 벽의 조화, 지붕에 있는 세 개의 흰색 돔, 그리고 창문의 기하학 패턴까지 넘치거나 부족하지 않은 간결한 아름다움이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평가가 많다. 양자 중력은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하는 물리학의 성배이기 때문이다.진화의 역사를 보라. 양자역학이 생존에 이익이 된다면 생명은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 아직 이용하지 않았다면, 양자역학을 깨달은 바로 지금의 인류가 최초의 양자생명체가 될지도 모른다 ... ...
- [과학뉴스] 인도네시아의 4만 년 전 동굴 벽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유럽에 있는 세계 최고(古) 벽화들과도 거의 차이가 없는 연대로, 고고학자들은 “예술의 역사를 다시 쓴 발견”이라며 흥분하고 있다.슐라웨시는 석회암 지형으로 동굴이 많다. 석회암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그림이 보존되기 어렵고, 따라서 고고학자들도 이 벽화가 기껏해야 1만 년 전에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번 HUPO에서는 이들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자는 논의가 이어졌다.프로테옴 연구는 짧은 역사에도 벌써부터 실질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백융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간암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표지 단백질(바이오마커)을 발견해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서양 뒤만 좇지 않고 과감하게 자국의 생각과 힘을 키웠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직 그런 역사가 짧다. 이제 겨우 한두 명의 후보자나 유망주가 나오고 있다. 긴 시간 연구자를 기다려주는 문화도 별로 없다. 노벨상이 문제가 아니라, 괜찮은 성과 하나 내기 어려운 환경이지 않을까. 이런 와중에도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