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DNA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3호
- 6각형 모양의 가방이 암세포를 발견하자 문을 연다. 가방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를 죽인다. 가방은 DNA로 만들어졌다. 입력한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DNA로봇이라 부른다.미국 하버드대 의대의 아이도 배철렛 연구원이 만든 이 로봇은 암세포만 골라 죽이도록 설계됐다. 지름은 약 35나노 ...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빨리, 빨리!”여기저기서 다급한 목소리가 들려온다. 레고로 만든 각종 로봇이 물고기와 옥수수 모형 등을 부지런히 나른다.이곳은 2012 FLL KOREA 대회 현장. 지난 2월 4일 올림픽공원 내 SK올림픽 핸드볼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창의공학교육협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했다. 대회에 ... ...
- 선 연결 없이 노트북 화면이 50인치 TV속으로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노트북이 무선 신호를 쏜다노트북이나 스마트패드, 스마트폰은 무선 신호를 받는 기기다. 보통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다. 와이파이는 미국전기전자학회(IEEE)가 802.11n이라는 이름의 표준으로 채택한 통신 규약이다.와이다이는 흥미롭게도 노트북이 무선 신호를 쏜다. 와이파이 기 ...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지난 1월 5일,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전기전자공학과 에셔 박사팀은 수학을 이용하면 영화관에서만 볼 수 있던 3차원 입체영상을 휴대전화로도 즐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부피가 큰 특수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던 입체영상을 작은 휴대전화 속에 넣은 비결이 뭘까?연구팀은 먼 ...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아유, 토실토실한 게 아주 널 빼닮았다, 얘.” 주인님도 방금 들었죠? 우리가 닮았대요. 저 요즘 주인님 닮았단 소리 진짜 많이 듣는데, 그게 몸매 때문이었나 봐요. 살이 찌면 인상이 비슷해지잖아요. 저도 왕년에 한 몸매 했는데, 어쩌다가ㅠㅠ. 이게 다 과자 때문이에요. 저녁 먹고 주인님과 나란 ...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비디오 게임(이하 게임)을 ‘뿅뿅’이나 ‘오락’이라고 부르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그렇게 부르면 어색하고 촌스럽다. 비디오 게임이 단순히 오락을 벗어나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는 문화 상품으로 올라선 지는 이미 오래다. 이 과정에는 게임기의 역할도 크다. 방구차, 갤러그, 제비우스라는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꿈꾸는 디자이너, 요리스 라만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영국의 꽃미남 밴드에서나 본 듯한 말끔한 외모에 훤칠한 키, 깔끔한 셔츠에 청바지, 거기에 짝짝이 운동화가 눈에 띈다. 요즘 전세계가 주목하는 네덜란드 디자이너 요리스 라만이다. ‘괴짜 과학자’라는 별명을 가진 그는 자연을 닮은 특별한 아이디어로 가구를 만들고 있다. 과학자와 함께 일 ...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감마선폭발(GRB)은 빅뱅 이후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강력한 폭발로 태양이 수십 억 년에 걸쳐 방출하는 에너지를 단지 수 초에서 수십 분 동안에 분출해 버리는 우주 최대의 섬광 현상이다. 감마선폭발은 초기우주 연구를 비롯해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규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토륨 원전에 대한 의견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분분하다. 찬성하는 연구자들은 기존 우라늄 원전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루 빨리 상업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호의적이지 않은 연구자들은 원료를 바꾸는 것이 완벽한 대안은 아니며 새로운 시스템의 우라늄 원전을 통해 기존 원전의 문제 ...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지난 2003년, ‘아침형 인간’이라는 책이 인기를 얻으면서 사람들은 너도나도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기자도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 일찍 불을 끄고 누워도 보고, 안간힘을 써가며 새벽에 일어나기도 해 봤다. 하지만 돌아오는 건 피곤뿐이었다. 이유는 유전자에 있었다. 기자의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