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구조다. 세포 바깥과 세포질 안쪽으로 각각 머리를 내밀고 안쪽으로 꼬리가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세포 입장에서는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 구조가 친수성과 소수성을 골라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어 생존에 효율적이다. 하지만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이 이중 구조가 세포 침투의 큰 장애물이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dolphin)라 부릅니다.돌고래의 ‘돌’은 옛말로 돼지를 의미하던 ‘돝’에서 유래했다고 보고 있어요. 품종이 낮거나 야생생물을 의미할 때 붙는 ‘돌(石)’이라는 단어에서 기원했다는 설도 있지요. 표준국어대사전엔 돌고래의 동의어로 ‘물돼지’, 바다의 돼지를 뜻하는 ‘해돈(海豚)’ 등이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교수는 “외계인에게 전할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을 우주탐사선에 실어 보내는 걸 보고 영감을 받았다”며, “수학이란 전혀 대화가 통하지 않은 사람들끼리도 소통할 수 있는 언어이므로 수학을 알지 못하는 어린 친구들도 수학적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대회를 열었다”고 ETH 취리히 뉴스 ... ...
- [동상이문] 7화 '첨벙 첨벙' 여름이 떠오르는 '더 큰 첨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뛰어 들어가고 싶다니까! 더구나 그림의 배경이 햇빛이 쨍쨍한 미국 로스앤젤레스라 보고만 있어도 기분이 좋아지더라고! 은의 기분도 나아졌으면 하는 마음에서 내가 직접 ‘더 큰 첨벙’을 그려봤어. 우와~, 윤이는 그림도 잘 그리는고나? 나도 작년에 갔던 전시회가 기억나. 왜냐하면…, ... ...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번 호에는 종이를 잘라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는 ‘전개도 퍼즐’을 소개하겠습니다.정육면체를 만드는 건 쉬워도 그 방법을 찾는 건 어려우니 열심 ... 퍼즐입니다. 오른쪽에 제 마음에 들었던 도전과제를 하나 소개할 테니 집에서 직접 만들어 풀어보고 아래의 문제에도 도전해보세요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상관관계에 대한 논란도 있었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2월 1일 브라질 등에서 보고된 소두증과 그 밖의 신경장애 사례가 이례적인 일로 다른 지역의 공중보건에 위협이 된다며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이는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2014년 소아마비, 2014년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몽타니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새로운 레트로바이러스 종일 것이라고 보고 ‘림프절종 관련 바이러스(LAV· lymphadenopathy associated viru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이름이 훗날 HIV로 바뀌었다. 하지만 당시 몽타니에가 이끌던 파스퇴르연구소 연구팀은 에이즈 바이러스의 발견자로 인정받지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하는 데 70년이 걸렸던 것과 달리, 2009년 3월 미국에서 첫 환자가 보고되고 6개월만인 9월, 두 종류의 백신이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한국의 제약회사인 녹십자도 같은 해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신종플루 백신인 ‘그린플루-에스’에 대한 사용승인을 ... ...
- [인터뷰] 호기심의 최전선을 꿈꾼다, 최재경 제8대 고등과학원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바꿔 다시 수학을 공부했죠. 여러분도 머리로 떠올리기보다 직접 움직이며 이것저것 해보고 어떤 일을 해야 좋을지, 수학자를 비롯한 기초 과학자를 꿈꾼다면 어떤 분야를 평생 공부하고 싶은지 찾아보세요 ... ...
- [특집] 오래된 서고 - 아직 풀리지 않은 암호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문자와 언어로 쓰였기 때문이었다.책에 적힌 식물이나 행성, 목욕하는 여성 등의 그림을 보고 약초학이나 천문학, 생물학, 우주론, 약학, 처방전까지 여섯 개의 분야를 다루는 책이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발견 후 약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책의 내용은 물론 어떤 형태의 암호문인지도 알아내지 못했다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