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목
강좌
교과안
교과목
내용교과
내용
d라이브러리
"
교과
"(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그래서 들이랑 부피를 혼동하기도 하는데,‘들이’의 뜻은 ‘들어가는 양’이다.
교과
서의 ‘안치수’라는 표현에 바로 이런 뜻이 숨겨져 있다. 부피는 어떤 물체가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말하고 들이는 어떤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양의 크기를 말한다. 들이단위와 부피단위가 같은 이유는 둘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최소한 어떤 정보가 더 필요한지 묻고 있다. 이 내용은 중1 과정과 곧바로 이어진다.
교과
서에서는 선대칭 도형과 선대칭 위치에 있는 도형을 엄격히 구별한다. 대칭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 관계에 있는 두 도형을 그리는 것은 언제든 가능하다. 하지만 대칭축이 도형 내부에 있는 도형은 그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숨은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가지는 않았는지, 중요한 내용을 놓치지는 않았는지
교과
서를 꼼꼼히 살펴보자.'소수는 반드시 분수에서 나온다'고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분수와 소수는 다른 수다. 처음에 소수는 분수의 또 다른 표현으로 배우지만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를 나타내는 더 넓은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밀려 머지않아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훈민정음학회의 총무이자 찌아찌아어 한글
교과
서 편찬을 주도한 서울대 언어학과 이호영 교수는 “찌아찌아어의 소리를 분석한 결과 다행히 우리말과 발음이 비슷했다”며 “우리말 발음에 없는 음 가운데 하나는 순경음 비읍( )으로 표기 했다”고 말했다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변별력을 주기 위해 출제되고 있다. 상위권에 들기 위해서는 필히 준비해야 한다. 셋째
교과
과정에서 배운 각 과목별 기본개념과 정의를 정확히 정리하라. 학생들이 논술을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리적인 문제들이 말로 제시되거나 낯선 표와 그래프로 주어지기 때문이다. 제시된 내용을 ... ...
지구촌 일일생활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초등학교
교과
서에는 ‘전국 일일생활권’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곤 했다. 당시는 88올림픽이 개최될 무렵이라 우리나라가 중요한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도로의 정비와 다양한 교통수단의 개발 및 개선에 박차를 가하던 시기였다. 이 덕분에 전국 어디라도 하루 안에 다녀올 수 있는 환경이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추상적'으로 변하기 때문이지. 예를 들어, 초등학교에서는 각의 크기를 직접 물어 보면
교과
서에 있는 그림에 직접 각도기를 대 쟀었잖아. 그런데 중학교에서는 그림에 주어진 관계를 이용해서 각을 계산하지 각도기로 직접 재는 일은 하지 않아. 왜 각도기로 직접 재면 안 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못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숫자 대신에 값이 바뀔 수 있는 문자를 이용해 문제를 푸는 수학의 한 분야다. 흔히
교과
서에서 접하는 방정식, 부등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대수학은 영어로 ‘algebra’라고 하는데, 이 단어는 특이하게도 아랍어 ‘al-jabr’(알-자브르)에서 왔다. 그리스의 수학이 아랍으로 건너가 발달했다가 다시 ... ...
노벨상 꿈꾸는 삐에로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활동했고, 지난 2000년에는 제7차
교과
서 편찬위원장을 맡았다. 그 결과 현재 쓰이고 있는
교과
서에는 배 교수의 철학이 반영된 문제가 담겨 있다."저는 강의를 적당히 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청중이 몇 명이든. 나로 인해 우리나라의 수학 교육이 확실하게 변한다는 생각으로 강의를 즐겼습니다.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빛의 궤적이 볼록렌즈나 오목렌즈를 통과하며 꺾이고 한 점에 모이는 그림을 물리
교과
서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이다.나노렌즈를 통과해 진행하는 빛의 경로는 나노렌즈의 곡률과 굴절률을 고려해 기하광학으로 계산한 빛의 경로와 다르다. 렌즈를 통과하면서 빛이 더 심하게 꺾일 뿐 아니라 빛의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