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정유산업 붐이 일면서 화학공학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에 입학할 정도면 대단히 뛰어난 성적을 유지했던 모범생이었을 것이다.사실 화학공학이란 화학과 공학을 하나로 합쳐 놓은 학문이다. 화학반응 자체를 공부하는 것은 물론, 이런 화학과정을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누구보다 잘 알고 계셨기에, 수학과를 추천했다. 조금 망설였지만 ‘하던 가닥’을 믿고, 고려대 자연계열을 선택했다. 이번엔 입학 장학생으로 합격했고, 우여곡절 끝에 이십대 청춘이 시작됐다. 새로운 방황의 시작과 끝 인생의 전환점, 군대 포술 경연대회 워낙 나라가 소란한 시기였다.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학자로도 행정가로도 화려한 이력을 지닌 세계 과학계의 거두다.난양공대는 10월 28, 29일 고려대와 공동으로 노벨상 수상자 4명을 포함해 세계적 석학 11명이 참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과학 학술행사 ‘미래과학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미국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단순히 영어를 잘 하는 게 아니라 소통을 잘 해야 하는 겁니다.”그는 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으로 두 가지를 꼽았다. 첫째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좋아하지 않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 평생을 살아간다면 삶이 피폐해진다. 두 번째는 그 일을 함으로써 스스로 성장할 수 ...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렇다면 정말 남산 위의 저 소나무가 사라지는 날이 올까. 2010년 한국임학회지에 이우균 고려대 교수가 발표한 논문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의 생장량과 지형, 기후 관계를 조사한 이 논문은 기온이 오를수록, 강수량이 많을수록 소나무 생장에 좋지 않다고 주장했다.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안녕하세요? 저는 인기 연재만화 ‘SOS! 애니몽’의 주인공, ‘안몽’이랍니다. 스포이트 박사와 크로스 연구소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오늘도 무척 바쁘지만…. 사람 대표 ‘소통 전도사’로 사람과 동물의 소통 방법을 알려 주려고 동물회의에 참석했어요. 애니몽 구조대원과 코끼리, 사자, 돌고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서로 손을 잡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이유로 첸 교수는 d의 최댓값이 6이라는 것을 고려해 지수의 식을 정했다. 한편 우리나라 컴퓨터 바둑학자인 이병두 교수는 또 다른 세력함수를 제안했다. 이 교수는 두 바둑돌이 6칸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급격히 세력이 감소한다는 경험적 성질을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생기는 것일까.서균렬 교수는 “각 국가 국민들의 평균 연령, 신체 표면적, 성비등을 고려해 정한 기준치”라 설명했다. 하지만 차이가 너무 크다. 미국인이 우리나라 사람보다 서너 배 큰 것은 아니지 않는가. 왜 우리나라가 370베크렐로 정했는지를 여기저기 알아봤지만 뾰족한 답을 얻기 어려웠다. ... ...
- 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도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층을 짓는다.국내에도 건설 공장으로 지은 건물이 있다. 2011년 10월, 서울 안암동에 있는 고려대에서 국내 최초로 건설 공장이 철골 구조 공사를 전담한 지하 1층, 지상 7층짜리 ‘로봇융합관’이 준공됐다. 총 공사 기간이 30% 가량 줄었다.건설 공장의 핵심 장비는 지능형 타워크레인과 볼트 연결 ... ...
- 세상이 나를 벗긴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범죄에 악용될 수도 있는 양날의 검이다. 이준 연구원은 “정보 보안과 물리 보안을 모두 고려하는 융합 보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가능성이 있는 곳을 모두 막아야 한다는 의미다. 바야흐로 정보가 가장 큰 무기인 시대다. 무기가 되는 만큼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고 숨기는 것이 중요해졌다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