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열 전도도도 구리의 10배가 넘고, 빛의 98%를 통과시킬 정도로 투명하다. 또 다른 물질과
결합
할 수 있어 얼마든지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0.1%의 그래핀을 넣으면 열에 대한 저항성이 30% 늘어난다. 1%를 섞으면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다.그래핀 산업화의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적용했다.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그물처럼 생긴 오픈 메쉬와 기능성 직물을
결합
시켰다. 또 항력을 줄이는 미세돌기를 부착해 표면을 오돌토돌하게 만들었다.근육 보호엔 ‘도르래’ 조이기‘도르래’가 들어 있는 경기 유니폼이 있다. 이 옷에 들어 있는 도르래 시스템은 운동을 할 때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파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표면 플라즈몬 파는 금속 표면 전자의 떨림이 빛과
결합
해 진행하면서 생기는, 기존의 광학으로는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표면 플라즈몬 현상이 알려진 것은 오래됐지만 이런 현상을 이용하게 된 것은 15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플라즈몬 파는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산소 분자가 분해돼 산소 원자가 된다. 산소 원자는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산소 분자와
결합
해 오존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오존은 자외선을 흡수해 산소 분자와 산소 원자로 분해되고, 산소 원자는 성층권 내의 오존과 반응해 산소 분자 2개를 형성한다.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 ...
채소일까, 사람일까? 숨바꼭질하는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파리 루브르 박물관오늘날에는 물질을 구성하는 것이 분자이고, 분자는 다시 원자가
결합
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요. 또 계절이 돌고 도는 이유도 밝혀졌지요. 하지만 지금처럼 과학이 발전하지 못했던 수백 년 전에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물과 자연을 이해했어요. 그래도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유기화학자 에릭 자콥센 교수는 “지난 50년 동안 개발된 합성법 가운데 팔라듐촉매 교차
결합
반응법이야 말로 유기화합물을 만드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미국화학회 회장인 퍼듀대조셉 프랜시스코 교수도 “이들의 업적이 인정받는 건 시기의 문제였을 뿐”이라며 노벨상 선정이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 힘이 미치는 공간을 전기장이라고 하지요. 사람의 몸을 이루는 분자들은 전기적인
결합
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요. 많은 전기를 보내려면 전기장의 세기가 세야 하는데, 이 때 사람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해요.자기장 : 자석의 N극과 S극 사이에는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참여한 것을 뜻한다. 특히 최근 여럿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협동연구나 여러 학문을
결합
한 융합연구가 대세가 되고 있다. 그래서 과학상에서 수상자 수의 변화를 분석해 봤다. 물리학상은 1950년대부터 평균적으로 2명 이상이 수상하고 있다. 1960년대에 잠깐 1.7명으로 줄었지만 2000년대는 2.8명으로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좀 더 유연한 관절이 있는 모양이어야 한다. 더 큰 문제는 호흡이다. 규소가 산소와
결합
한 이산화규소는 기체가 아닌 고체다. 규소 생물이산소로 호흡한다면 호흡기가 막히지 않도록 다른 수단을 이용해야 한다.한편 목성과 같은 가스 행성에도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1970년대에 천문학자 칼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것은 멜라닌생성세포의 표면에 있는 ‘멜라노코틴-1 수용체’다. 이 수용체가 호르몬과
결합
하면 세포는 피오멜라닌 대신 어두운 유멜라닌을 생산하게 된다.이 수용체의 유전자 염기서열에는 다양한 변이가 존재해 같은 인종에서도 다양한 농도의 피부색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 단백질의 일부가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