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9
조금씩 움직여 가는데 지표면에서의 압력과 마찰로 조금씩 녹는다. 해빙이 어느
한계
에 이르면 자체 중력에 못 견뎌 아래로 내려앉으면서 얼음장이 깨지듯이 쩍쩍 갈라지게 된다. 갈라진 틈새는 수십 cm에서 수십m에 이르고 깊이는 끝을 보기 어려울 만큼 깊다. 크레바스는 계속해서 생겨나고 ... ...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09
농무부가 최초로 양과 돼지에서 성공을 거둔 기술이다.하지만 전핵 주입법은 커다란
한계
를 지니고 있다. 성공률이 3-5%로 너무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1백개의 돼지 수정란에 산양유전자를 넣는다면 겨우 3-5마리의 돼지에서 그 유전자의 기능이 발휘된다는 의미다. 왜 그럴까.가장 큰 난관은 ... ...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09
얻은 핵을 제거한 난자에 넣어 만들어졌다. 이 기술이 기존 형질전환기술의
한계
를 넘어설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영롱이와 메디가 만난다면이전까지의 기술이 가지는 가장 큰 난점은 과연 수정란에서 유전자가 제대로 변환이 됐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아예 처음부터 확실하게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09
전핵 주입법’의 많은
한계
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이 방법을 이용해 형질전환동물을 만드는데 노력해 왔다. 단지 품질 좋은 가축을 만들기 위해서만이 아니었다. 적절한 유전자를 삽입시키면 난치병을 치유할 수 있는 긴요한 물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물질은 ... ...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
과학동아
l
199907
성공리에 마쳐도 그 흔한 감기 하나 못고치는게 현실이다” 라며 현대 과학기술의
한계
를 단적으로 지적한다. 수많은 생물학자가 배출되고, 그들의 연구 분야가 끊없이 깊어지는 만큼 과학이 다루는 시야 역시 한없이 좁아져 갔다. 이런 탓에 세포에 대한 분자수준의 연구는 많이 진척되고 있지만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06
하지만 지구상의 인구가 늘어나고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물의 자연 정화능력은
한계
에 부딪혔다. 따라서 이제는 화학적 원리를 이용한 인공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댜양한 능력 갖춘 재능꾼우리 주변의 모든 물질은 그 크기가 1억분의 1cm에 불과한 원자들이 결합해 만들어진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06
보안 컨설팅은 아니다. 개인적인 차원 또는 기관의 한 부서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는
한계
가 있다. “오늘날 첨단경비시스템으로 경비를 위탁해주는 업체가 있듯이 네트워크 보안시스템도 위탁관리로 갈 것이다”라고 힘주어 말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이것은 바로 네트워크의 시대인 21세기에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06
뭉쳐 마침내 ‘중성자별’이 탄생한다. 중성자로만 만들어진 별이 가질 수 있는 질량의
한계
는 태양의 3배 정도이다. 만약 수축하는 중심핵이 이보다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다면 중성자별은 안정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중심핵의 질량이 태양의 3배를 넘게 되면 결국 또다시 수축하는 것을 막을 ... ...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199906
때문에 냉각장치를 붙여 늘 식혀줘야 했다. 커다란 부피를 소형화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
도 지녔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진공관을 대체할 반도체를 찾아나서야 했다.1940년대에 이르러 과학자들은 게르마늄과 규소(실리콘)가 제한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런데 왜 부도체인 ... ...
Ⅴ. 기록에 도전하는 건축 기네스
과학동아
l
199905
지질 상태, 생태학적인 측면 등 여러 문제가 있다. 구조공학적으로도 약 1백50층이
한계
라고 하는 견해가 많다.세계 1백대 마천루의 높이는 4백m 이상이 6, 3백-4백m가 14, 2백50-3백m가 37, 2백25-2백50m가 43개이다. 높이가 2백25-3백m의 것이 80개로 가장 많다. 층수별로는 1백층 이상이 6, 80-1백층이 8, 7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