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켓
마킷
장
상가
가게
저자거리
장터
스페셜
"
시장
"(으)로 총 1,38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원 규모의 제약사를 만들자는 정책을 기획한 적이 있다. 물론 M&A는 정부 주도가 아니라
시장
에 맡겨야 한다는 원칙은 지켜야 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여러 외부 영향 때문에 자연스럽게 M&A가 이뤄질 것으로 봤지만 아직은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다.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다. 가장 ... ...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그저 해외 유명 기업을 보며 감탄만 한다. BIO에서 열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해서 파악해야 할 대상이다. 예를 들어 행사장 곳곳에서 열리는 바이오 관련 법률이나 제도를 주제로 한 패널 토의, 콘퍼런스 등은 한국사람 입장에선 당장 불필요해 보이지만 꼭 알아둬야 할 ... ...
삼성, 글로벌 바이오 전시회에 단독 부스로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1.06.29
개발과 대량생산 역량을 동시에 키워 세계적인 제약사가 되겠다”며 “4~5년 뒤 혁신신약
시장
에도 공격적으로 뛰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삼성이 신수종 사업으로 바이오 진출을 선언한 이후 자본금 3000억원 규모로 지난 4월 설립한 신생 기업이다. 이날 삼성 부스에는 마틴 오말리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세계적인 제약 기업을 보면 대부분 다국적 기업이다. 일본 제약기업은 점차 글로벌
시장
에서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그 원인 중 하나가 일본 기업은 스스로 다 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도 그런 면이 있다. 다른 나라와 적극적으로 손을 잡고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나온 건 아니지만 스웨덴 정부는 적극 투자하고 있다. 단백질 분야가 향후 의약·제약
시장
에서 ‘블루오션’일 거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에는 스웨덴 왕립공대, 카롤린스카연구소, 스톡홀름대 등 3개 기관이 스웨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생명과학실험실’을 공동으로 설립했다. 이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꼭!’ △출연연에 정책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 집단을 둬야 한다. △해외
시장
에서 성장하는 벤처기업이 나오도록 관련 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김상선 원장은 - 1974년~1978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학사 - 1992년~1993년 영국 맨체스터대 과학기술정책학 석사 - 1994년~1996년 영국 맨체스터대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차지하는
시장
규모가 1조 달러라면, BT를 이용해 타 산업으로 진출했을 때 형성되는
시장
규모는 2조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가령 바이오연료나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새로운 기능의 생명체를 인공합성하는 분야) 등을 들 수 있다. 한국 벤처기업들을 보면 대부분 제약에만 몰려 있다. 국가적인 ... ...
“종자 주권이요? 아직 논할 단계도 아닙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08
구조’가 되는 셈입니다.” ● 종자기술 대규모로 육성해야 국게 경쟁력 확보 세계 종자
시장
에서 우리나라가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오 상무는 ‘종자기술(육종)의 규모화’를 꼽았다. “육종은 종합예술입니다. 한 알의 종자는 첨단 기술이 결정체죠. 예전에는 다양하게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별 중복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김선영=지금까지는 연구자 중심의 R&D가 주를 이뤘다.
시장
성을 보는 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의 재미를 찾아 진행된 연구들이 많았다. 그렇다보니 R&D의 일관성이 떨어지고 목표지향적으로 나가기 어려웠다. 외국에서 이러한 연구를 하니까 능력이 부족함에도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BT를 바라보는 안팎의 시선이 다르다”고 말문을 뗐다. 제약·헬스 등 전 세계적으로
시장
을 창출하는 분야는 대부분 생물학과 관련 있지만 국내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생물학을 전공한 대학원생이 갈만한 기업은 소수의 대기업과 제약회사, 바이오벤처회사 등이 전부에요. 취업 문턱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