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리"(으)로 총 1,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2016.12.15
- 루 샴과 함께 밀도함수이론으로 응집물질의 특성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콘-샴 정리’를 발표했다. 콘의 박사과정학생인 필립 통은 밀도함수이론을 써서 나트륨 격자 안에 있는 전자의 에너지를 계산하는데 성공했고 그 뒤 화학자들이 이론연구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컴퓨터의 성능이 ... ...
- [영.혼.남의 3분 영화] 과거로 가는 알약 10알을 얻는다면?2016.12.15
- 아니고 ‘3분 영화’가 무슨 말이냐고? 일단 ‘오X기’ 그룹의 PPL은 아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앞으로 매주 목요일 나올 이 칼럼은 ‘영화 혼자 보는 남자’(영.혼.남=필자)가 3분 만에 추천하는 금주 개봉 영화 소식이다. 당신의 시간은 소중하니까. 매주 목요일, 손이 심심한 오전에 딱 3분만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2016.12.13
- 그를 대하며 함께 연구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내쉬가 오늘날 ‘내쉬의 균형 정리’로 불리는 논문을 비롯해 논문 세 편을 단독으로 내면서(그 가운데 하나는 함께 토론하며 연구하던 주제였다) 둘 사이는 멀어졌다. 졸업 뒤 랜드코퍼레이션으로 복직한 섀플리는 게임이론을 계속 연구했고 1 ... ...
- 폴 포그바의 댄스, 수학 문제로 등장수학동아 l2016.12.11
- 같지 않아 피타고라스 정리를 만족하지 않습니다. 왼손으로 만든 삼각형은 피타고라스 정리를 만족하므로 직각삼각형이지만, 오른손으로 만든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 아니기 때문에 포그바의 댑 댄스는 완벽하지 않다는 게 정답입니다. 이 문제를 본 네티즌들은 망숑의 SNS에 풀이와 답을 올리고 ... ...
- [카드뉴스] 소화불량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3분만 투자하면 머릿속에서 최신 과학상식이 정리된다! 과학은 어렵고 딱딱하다는 선입견을 버리세요~ 출퇴근길, 등하굣길 등 언제 어디서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이 있으니까요! 그동안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궁금증이나 어려워서 이해하지 못했던 심층 과학까지 3분안에 큐레이팅 ... ...
- [지뇽뇽의 色수다] (ep3) 키스의 과학2016.12.11
- ‘평소’ 하는 키스 또한 관계만족도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Wlodarski & Dunbar, 2013). 정리하면 키스는 ‘입술을 통해서 서로의 매력도를 측정, 사랑의 감정을 증폭시키며 유지시키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상대방의 전투력 아니 매력을 측정하는 스카우터가 내장되어 있는셈이라고 ... ...
- 고양이 혀 닮은 로봇으로 로봇 약점을 극복?2016.12.11
- 유사한 표면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바로 고양이 혀의 유연성이 정리가 쉬운 머리 빗부터 섬세함이 생명인 의료 분야의 로봇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지요. 한편 연구진은 다른 고양이과의 동물들, 예를 들어 호랑이나 사자 등과 같은 동물들의 혀 모양도 연구해 발표할 ... ...
- [카드뉴스] 철새에 대한 궁금증 5가지동아사이언스 l2016.12.10
- 3분만 투자하면 머릿속에서 최신 과학상식이 정리된다! 과학은 어렵고 딱딱하다는 선입견을 버리세요~ 출퇴근길, 등하굣길 등 언제 어디서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이 있으니까요! 그동안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궁금증이나 어려워서 이해하지 못했던 심층 과학까지 3분안에 큐레이팅 ... ...
- 묵직한 무게만큼 깊은 맛을 내는 ‘주물’ 냄비는 이렇게 관리하세요!동아사이언스 l2016.12.09
- 길들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준비한 STEP 3! 조리 시간에 따른 관리 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으니 참고해 보기를 바란다. STEP 1 [조리 전] 주물냄비를 처음 사용한다면 일단 미지근한 물로 세척한다. 그 다음 마른 행주로 물기를 닦고 오일을 골고루 바른다. 이때 오일은 산화되기 쉬운 참기름과 ... ...
- 2016 내멋대로 매스 어워즈수학동아 l2016.12.09
- 수학을 공부했던 수학신동이었는데, 16살에 앤드루 와일스 교수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것을 보고 정수론에 흥미를 느꼈다고 합니다. 숄츠 교수는 자신이 만든 이론으로 산술기하학 분야의 난제를 해결했으며, 클레이 재단이 뽑은 밀레니엄 난제 중 하나인 호지 추측과 랭글랜즈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