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5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탈성장 시대 새로운 키워드는 '로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인구 결집지 중심의 생활 방식을 바꿔야 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생산과 소비가
분리
된 분업적 사회 구조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특히 탈성장 시대가 되면서 전세계 도시가 기존에 유지하던 국제적 생산 네트워크에 변화와 위기가 찾아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 ...
'감염 안됐는데 양성?' 코로나19 위양성 사례 자꾸 나오는 이유
2020.06.17
바이러스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검체를 핵산 준비용 용액에 녹여내고 용액 원심
분리
와 필터링을 거쳐 핵산을 추출하는 준비과정을 거친 뒤 RT-PCR용 시약 키트와 섞어 PCR 장비로 분석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PCR 장비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존재하지도 않는 바이러스 DNA 염기서열을 확인할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연구팀은 코로나19가 아닌 중증호흡기증후군(SARS, 사스) 회복 환자로부터 항체 200개를
분리
한 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등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도 효과를 발휘하는 단일클론항체 8종을 발굴해 역시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사이언스는 “세 편의 단일클론항체 연구 모두 ... ...
[코로나19의 유체물리학]’변기 뚜겅 닫고 물내리세요. 바이러스 튀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699건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코로나19 유전자가 24건 검출됐으며 배양검사를 하였으나
분리
된 바이러스는 없었다고 밝혔다. 질본은 “바이러스가 배양되지 않았다는 것은 해당 경로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염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혈액이나 분변에서 검출된 코로나19 바이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극한의 경지에 다다른 것이다. 광촉매의 양자 효율이 낮은 가장 큰 요인은 빛을 받아
분리
된 전자와 정공이 다시 합쳐져 원래대로 돌아가는 데 있다. 따라서 전자와 정공이 만들어지는대로 표면으로 빨리 이동해 각각 물분자의 수소이온 환원시키고(수소발생반응) 수산화이온을 산화시키는데 ... ...
우주서 중성자 평균수명 첫 측정…수십년 논쟁 종지부 찍나
연합뉴스
l
2020.06.15
뒤 초속 수킬로미터로 대기 중으로 날아오르는 중성자를 측정했다. 중성자는 원자에서
분리
되면 양성자와 전자로 곧바로 붕괴하는데 중성자가 높은 고도에서 관측될수록 평균수명도 길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연구팀은 컴퓨터 모델을 통해 메신저호가 수성에서 중성자 평균수명을 10~17분 ... ...
재사용로켓과 소형로켓 상징하는 두 우주기업 4시간 간격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로켓 팰컨9과는 다른 로켓 회수 방식을 가졌다. 우주상에서 일렉트론의 1단과 2단 로켓이
분리
되면 1단 로켓은 기수를 돌려 다시 지상으로 향한다. 대기권에 진입한 이후에는 속도를 낮추기 위해 낙하산을 편 채 천천히 떨어진다. 그러면 주변에서 대기하고 있던 헬기가 낙하산 줄을 낚아채 로켓을 ... ...
어색하고 불편한 개들
팝뉴스
l
2020.06.13
모양이다. 저 부자연스럽고 어색한 자세를 취한 채 한참 시간을 보낸 후에 서로
분리
되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런 ... ...
[과학게시판] KISTI, 2020 인텔리전스 비즈니스 대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 청정에너지원인 천연가스의 생산 및 저에너지 소비형 탈염, 가스
분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된다. ... ...
식약처, 식중독균 국가자원으로 관리…병원체 전문은행 지정
연합뉴스
l
2020.06.12
병원체자원 등재 및 분양 등이다. 식중독균 자원센터는 이번 지정에 따라 식품에서
분리
한 식중독균을 국가 자원으로 보존·관리하고 분양까지 할 수 있게 됐다. 자원센터에는 현재 약 1만2천주의 균주가 수집·보관돼 있다. 식약처는 식중독균 전문은행이 운영되면 균주 수입에 어려움을 겪는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