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못"(으)로 총 2,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드뉴스]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동아사이언스 l2017.07.26
- 술에 강하고 약한 것은 ALDH 활성 유전자 유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ALDH가 제대로 기능을 못 하면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혈액 속에 남게되는 것이죠. ALDH1은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일 경우 활성화되는데 서양인의 40% 이상에게서 잘 활성화됩니다. ALDH2는 알코올이 조금이라도 흡수되면 ... ...
- [ESC의 목소리 (15)] 학부 공학 교육이 망가지고 있다2017.07.22
- 있다. 글쓰기를 잘 하는 것은 차치하고 직장 생활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수준에도 못 미친다. 프로젝트 보고서를 보면 이게 카톡 메시지가 아닌지 헷갈릴 정도이다. 이는 한두 학기 글쓰기 수업을 듣게 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글쓰기를 각 전공 수업에 녹여내야 하는데, ‘연구중심대학’ ... ...
- 첫사랑의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어느 연구자의 결론 동아사이언스 l2017.07.20
- C 기억이 떠오를 때마다 A도 함께 자극받기 때문이다. 이 모델를 통해 첫사랑을 오래 못잊는 이유도 추론할 수 있다. 두번째, 세번째로 만난 사람보다 첫사랑의 상대와 관련한 기억들이 뇌 곳곳에서 장기기억으로 변환돼 있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 가설의 근거는 ‘뇌 가소성(brain ... ...
- [퀴즈] 사람의 피 냄새, 개보다 사람이 잘 맡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6
- 있습니다. 어떤 냄새일까요. 아래의 퀴즈에서 만나 보세요. [냄새 관련기사] 1. 냄새 못 맡으면 살도 빠진다?2. 사람이 개보다 잘 맡는 냄새는? 3. 두리안 ‘X냄새’가 궁금하다! ※ 편집자 주 과학이 어렵고 딱딱한가요? 과학 상식과 생활 정보를 머리 속에 쏙쏙 들어오도록 OX퀴즈로 쉽게 정리해 ...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 죽이는 3가지 방법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폭발인 감마선 폭발의 경우는 어떨까. 감마선은 태양보다 100배 이상 무거운 별이 중력을 못 이겨 블랙홀로 붕괴할 때나, 서로 쌍을 이룬 중성자별이 합쳐지며 블랙홀이 될 때 발생한다. 감마선 폭발로 지구의 바다를 끓이려면 40광년 이내의 거리에서 폭발이 일어나야 하지만, 연구진은 이 가능성 ... ...
- 드라마 속 '충격으로 인한 기억상실증' 왜 생기나동아사이언스 l2017.07.11
- 제공 영화나 드라마에는 머리에 큰 충격을 받은 뒤 사물을 잘 못 알아보거나 기억을 잃어 가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외상성 치매라고 하는데, 국내 연구진이 외상성 치매가 일어나는 원인을 밝혀냈다. 김명옥 경상대 응용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물리적인 외부 충격을 받은 환자의 ... ...
- [퀴즈] 시끄러운데 살면 뱃살 못뺀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9
- 복부비만으로 고민 중인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뱃살 관련기사] 1. 잠 못자면 살찌고 배 나온다… 서울大 의대 발표2. 교통 소음이 ‘러브핸들’ 만든다 3. 뱃살 만드는 식품, 다이어트中 먹은 ‘이것’ 알고보니? ‘반전 결과’…뱃살 빼는 식품은? ※ 편집자 주 과학이 어렵고 ... ...
- [돈테크무비 34회] 세계 최대 모빌리티 기업들의 명과 암 2017.07.08
- 성공적인 투자로 유명한데다 카카오 모빌리티가 아직 설득력 있는 사업 모델을 제시하지 못 하고 있는 상황이 겹쳐 더 주목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TPG 등으로부터 5000억원의 투자를 이끌어낸 카카오 모빌리티의 핵심 서비스 카카오 택시 - 카카오택시 제공 미국과 중국에서도 이 모빌리티 ... ...
- 4살 아이 하루 10시간 투석 받게한 …'햄버거병' 대체 뭐길래?동아사이언스 l2017.07.06
- 가축의 장 안에 산다. 도축 과정에서 가축의 분변을 처리할 때 적절히 처리를 못 하면 이 균이 고기에 묻어 사람으로 옮겨진다. 여러 고기를 다져서 만드는 햄버거 패티가 HUS의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이유다. 일반 스테이크용 고기는 대장균이 표면에만 묻지만, 햄버거 패티는 여러 고기가 ... ...
- 냄새 못 맡으면 살도 빠진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6
- 감소는 대부분 지방세포가 연소하며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냄새를 맡지 못하는 쥐의 지방 축적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좋은 지방인 ‘갈색 지방’이 연소하며 몸 속 지방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나쁜 지방으로 꼽히는 ‘백색 지방’은 갈색 지방으로 변화한 뒤 연소됐다.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