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다울링-윌슨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9호
- 3으로 한 번 줄어들 수 있습니다. 즉 뒤이어 나오는 계수는 절댓값이 무조건 3 이하여야 하지요. 허 박사의 첫 논문이기도 한 이 문제는 2012년 ‘미국수학회저널’에 실렸습니다. 허 박사가 앞으로도 좋은 성과를 계속 이뤄 나가길 기대해봅니다 ... ...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발전하는 산업에 비해 전력양이 부족해 걸핏하면 전기가 끊기곤 하지요.2014년 초 중앙대학교 공대에 재학 중이던 박제환 씨는 인도 여행을 하다가 전기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1년 넘게 고민한 결과, 촛불 ... ...
- Part 5. 3D프린터, 트랙터까지 내 손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 찾았어! 내가 찾던 특별한 과학은 바로 ‘착한 과학’이었어. 흔히 적정기술이라고 하지. 착한 과학으로 뭘 할지 벌써부터 아이디어가 샘솟는걸? 어과동 친구들도 착한 과학에 관심을 갖고, 혹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면 꼭 공유해 주길 바랄게. 안녕!▼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저장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형식이라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 암호화돼 있기는 하지만 자신의 정보가 공개된다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은 것도 걸림돌이다. 이런 경우 선택하는 방법이 일부 참여자에게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는 ‘프라이빗(컨소시엄) 블록체인’이다. 중개기관이 모든 ... ...
- [Photo] 한 조각 붉은 마음을 품은 철, 적철석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산화되면 산화물의 부피가 원래보다 두 배 정도 커지면서 벗겨져 나가 보호막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계속해서 산화가 일어난다.그러나 철에 크롬과 니켈 등을 합금한 스테인리스강을 개발하면서 이런 문제도 해결됐다. 이후 망간과 바나듐, 코발트, 텅스텐 등 다양한 원소와의 합금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멋쩍게 웃으며 “후배들이 안 오겠죠? 이런 일이 하기 싫어서”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거듭 “아 재밌다. 그래도 재밌지 않나요?”라며 웃어 보였다.그랬다. 잠시 동행한 것뿐이지만, 누구나 쉽게 경험할 수 없는 한라산의 속살을 맛본다는 것도, 미래 세대를 위해 한라산의 과거와 현재를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먼지 한 조각만 구할 수 있다면, 구성원을 바로 알 수 있다.노아 피어러 교수는 청소를 잘 하지 않는 창문이나 문틈에서 발견되는 미생물로 집 안에 구성원을 밝힐 수 있다고 발표했다(doi:10.1098/rspb.2015.1139). 모든 사람의 피부에 존재하는 더마박터(Dermabacter ),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 등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부위 353곳을 발견했고, 이를 이용해 연령 추정 시 오차를 3세 이하로 낮췄다. 정확하긴 하지만 이 과정에는 최소 250ng 이상의 DNA가 필요한데, 보통 현장에서 발견되는 DNA 양은 고작해야 1ng 정도다. 즉, 좀 더 나이에 민감한 DNA 부위를 찾아야 한다. 이 교수는 DNA 부위 7곳만 확인해도 되는 새로운 연령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모두 사용해 효율적으로 공부를 할 수 있답니다.수능이 100여 일 남았지만 너무 불안해 하지 마세요. 즐겁고 자신감 있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이나 자심감은 모두 뇌에서 나옵니다. 그런데 이 감정은 자기 암시 훈련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나는 잘할 수 있다’, ‘나는 잘 풀 수 있다’,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챙기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전에 기생충을 바라보던 혐오스러운 눈길부터 거둬야하지 않을까.+ 더 읽을거리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특집 ‘제2의 나, 장내미생물’(2012.5)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205N006기획 ‘기생충은 살아있다’(2005.6)dl.dongascien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