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양"(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철썩 철썩 쏴아~ 아름다운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잡힐 듯 말 듯, 눈을 속여라!파도는 왜 생기는 걸까요? 바로 바람과 지진파 그리고 달과 태양의 중력으로 인한 밀물과 썰물 때문이에요. 깊은 바다에서는 물이 위 아래로 넘실넘실 출렁출렁거릴 뿐이지만 해안에서는 수심이 점점 얕아지면서 파도가 위로 솟아오르게 되요. 그러다가 해변에 ... ...
- 태풍 VS 토네이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초속 17m보다 강한 바람과 세찬 비를 내리게 하는 거대한 구름떼예요. 적도와 극지방은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의 양이 다르거든요. 이 차이를 맞추기 위해 따뜻한 공기가 고위도로 이동하며 강한 바람과 비를 내리게 하는 기상현상이지요. 대부분 27℃ 이상의 바다에서 만들어지고, 이동하면서 ...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엄청난 계획을 세웠어. 한번 들어볼래? 우작, 우작, 우작…. 이게 무슨 소리냐고? 헤헤‘, 태양계 정복도 식후경’이라고! 일단 배를 빵빵하게 채운 다음 작전을 수행하기로 했지. 잠깐, 켁켁! 목이 막히는데? 아니, 햄버거 안에 이상한 녀석이 들어 있어. 손짓까지 하면서 나를 부르잖아. 뭐라고? ... ...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1년에 한 번밖에 만날 수 없다는 슬픈 이야기를 지어내기도 했지요.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는 ‘우리 은하’에 들어 있어요. 우리 은하에는 별이 2000억 개쯤 모여 있지요. 지구에서 우리 은하에 속한 별들을 바라보면 멀리 떨어진 별들이 서로 겹쳐서 띠를 이룬 것처럼 보여요. 이것이 바로 ... ...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뿐 아니라 별과 태양의 자손이기도 하다. 최근 인류는 대담한 도전을 하고 있다. 별빛과 태양빛을 지상에서 인공적으로 만들려는 ‘핵융합’이다. 핵융합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만들고자 한 인류 꿈의 완결판이다. 이 꿈은, 생각보다 훌쩍 가까이 다가와 있다.기획, 진행 윤신영 기자 ashilla@donga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타일러: 쉽게 말해 태양에서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원리 가 핵융합이에요. 그래서 ‘인공태양’이라고도 불리죠. 엄청나게 뜨겁고 압력이 높아야 하기 때문에 어렵지만, 현재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시도하고 있어요. 이터와 한국 의 케이스타(KSTAR), 유럽연합의 제트(JET) 등은 도넛모양의 장치에 뜨거운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글의 마지막에 이야기하게 됐는데, 사실 올해는 오로라를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태양은 11년 주기로 활동성이 변하는데, 올해가 활발한 3~4년 중 마지막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 시기가 오려면 또 몇 년을 기다려야 한다. 각자 통장의 잔고와 가계부를 한 번 확인해 보자. 그리고 과감하게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너지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실제로 이후 양자역학이 발전하면서 태양과 같은 별의 에너지원이 핵융합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가운데로 내려가는 ‘롤러코스터’의 원리내려갔다 다시 올라가는 U자 모양의 궤도를 움직이는 롤러코스터가 있다고 해보자. 롤러코스터가 마지막으로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저 로제타는 포기할 생각 없습니다. 앞으로 1년간 추리 곁을 지킬 거예요. 추리가 태양으로 다가갈수록 코마가 커지는 모습을 지켜볼 겁니다. 미로, 앨리스, IES 같은 분석장치가 도도한 혜성, 추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거예요. 로제타석이 이집트 문명의 비밀을 풀어주었듯, 우주의 비밀스런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핵융합만 해도 최소 1억~2억K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태양 중심부가 약 1500만K니까, 태양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엄청난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그래서 물질을 쓰지 않고 플라스마를 가두는 방식이 등장했다. 바로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플라스마는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이온 상태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