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플라스틱에 충격파를 준 결과, 충격파와 압력이 가해지면 탄소 원자들이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다이아몬드로 바뀌는 걸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해왕성에서 실제로 만들어지는 다이아몬드는 수백만 캐럿에 이를 정도로 클 것으로 예상했답니다.● 스토리 따라잡기 “산성비 때문이에요! 그래서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키가 두 배 큰 사람의 허리둘레가 키가 작은 사람의 두 배라면, 물고기가 그렇듯이 크기는 달라도 둘의 모습은 똑같아 보일 것이다. 하지만 키가 두 배인 사람의 허리둘레는 기껏해야 키가 작은 사람의 1.4(≈21/2)배 정도다. 독사진을 찍어 나란히 비교하면 당연히 키가 큰 사람이 날씬해 보인다. ...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중이었다. 머리에서는 피가 다 빠져나가 뇌의 형태는 허물어져 가고 있었다. 인간 뇌 크기의 약 8분의 1, 부피로는 180cc 정도인 돼지의 뇌는 몸에서 잘려 나간 뒤 산소와 영양 공급이 안 돼 급속도로 파괴되고 있었다. 오원종 한국뇌연구원 뇌신경망연구부 책임연구원은 “몸 전체에서 동물의 뇌가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성별을 확인하는데, 목덜미뼈마루의 크기와 주름, 유양돌기의 크기와 모양, 눈확위뼈 가장자리와 융기, 미간부위의 융기, 그리고 아래턱융기를 확인한다. 1점에 가까울수록 여성, 5점에 가까울수록 남성이다. 조사한 두개골은 모든 부위가 4~5점으로 나타났다. 골반과 ... ...
- 우주먼지, 이렇게 생기는 거였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발견된 현상으로 초신성 주변 수십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우주먼지 알갱이의 생성 비밀을 풀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천체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50-019-0763-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뇌 속에는 아퀼리안 종족의 왕자 ‘로젠버그’가 살고 있다. 영화에서 로젠버그는 10~15cm 크기의 소형 외계인으로 사람의 머릿속에 침투해 숙주를 조종하며 생활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는 버그 종족에 맞서 종족의 운명을 지키기 위해 보물 ‘은하계’를 가지고 지구에 망명한 상태였다. 은하계는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kg 정도인 크고 무거운 배터리입니다. 한번 충전해 1시간 움직여 로보트 재권V에 이 정도 크기의 배터리를 넣을 수 있을 만한 공간은 배 부위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어쩔 수 없이 로보트 재권V의 뱃속에 배터리를 장착해 봅니다. 사람도 음식을 먹으면 뱃속에 있는 소화기관을 거쳐 영양분을 얻으니, ... ...
- 21세기의 연금술사들, 새로운 원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붕괴를 거꾸로 생각하면 자연에 없는 커다란 원소를 만들 수 있어요. 즉, 적당한 크기의 원자핵 두 개를 서로 충돌시키는 거예요. 그러면 두 원자핵이 합쳐지면서 양성자가 많이 들어있는 새 원소가 만들어지죠!2004년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과학자들이 만든 ‘니호늄(Nh)’을 예로 들어볼까요? 일본의 ...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심 항성은 태양과 질량이 비슷하며, 나머지 항성은 크기가 태양의 3분의 1이다. 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면 통과 방식으로 세 번째 행성을 발견했다. 천체면 통과 방식은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빛이 줄어드는 차이를 분석해 행성의 존재를 ... ...
- [수학뉴스] 처음으로 포착한 블랙홀의 그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성과입니다. 2017년 4월 8곳의 망원경이 10일 동안 동시에 같은 블랙홀을 관측해 지구만 한 크기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효과를 냈습니다. 이때 관측한 4100테라바이트(TB)가량의 데이터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해 블랙홀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이 핵심이었죠. 2년이나 걸린 이 과정에는 다양한 알고리듬이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