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 인터뷰] 부지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통해 탐사를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귀뚜라미를 발견하기가 힘들었는데, 올해는
종
류도 구분할 수 있는 실력이 생기길 바라고 있어요.수원청개구리 관찰은 5~6월에 많이 해야 할 것 같아요. 모가 자라면 개구리 찾기가 더 힘들고 6월이 지나면 모기도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올해는 개구리를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상자를 잘 열었지만 너구리과 동물인 라쿤과 미어캣은 상자를 열지 못했다. 하이에나
종
도 15%밖에 성공하지 못했다. 벤슨-앰럼 교수는 논문에서 “곰처럼 몸집에 비해 뇌 크기가 큰 동물들이 많이 성공했다”며 “뇌 크기가 동물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 ...
[과학뉴스] 물고기는 왜 자기 알을 먹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microps)의 수컷을 조사했다. 망둑어 수컷은 산란을 마친 암컷이 떠나면 알을 돌보는데,
종종
알을 먹기도 한다.연구팀은 먼저 같은 환경 조건에서 어떤 개체가 알을 먹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활동을 많이 하는 부지런한 개체가 알을 먹을 가능성이 높았다. 이어서 연구팀은 수컷 망둑어가 어떤 알을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뜯어먹는 채식주의자부터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 육상 포식자까지 원시 악어의
종
류는 다양했다. 또한 이들 중에는 당시 최상위 포식자도 있었다. 슈보사우루스와 함께 쿠퍼캐니언층에서 발견된 포스토수쿠스는 몸길이가 5m까지 자라는 대형 육식동물이었다. 이들은 당시에 살았던 다른 원시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전체를 꺾거나 베어 버리는 경우도 있지요. 이 과정에서 숲이 훼손되고 겨우살이들도 멸
종
위기에 처하게 됐답니다.만약 지금과 같이 겨우살이를 마구잡이로 채취하고 숲을 훼손하는 일이 계속되면 우리나라의 겨우살이는 결국 사라질 수밖에 없을 거예요. 그러면 우리나라 숲 생태계가 큰 영향을 ... ...
[과학뉴스] 대대손손 빛을 잃은 초파리 “믿을 건 냄새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분석했다. 그 결과로 냄새와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유전자와 페로몬을 생성하는 유전자 84
종
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초파리가 어둠 속에서 냄새를 이용해 짝짓기를 하는 데 이런 유전자 변형이 도움이 됐을 것으로 추론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G3(Genes Genomes Genetics)’ 2월 1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늘린다고 주장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개체는 중요하지 않다. 개체의 소소한 이득은
종
전체의 생존이라는 위대한 이득에 언제나 밀려난다고 윈-에드워즈는 역설했다. 그의 책을 펼치면 진리를 전파한다는 사명감에 가득 찬 저자의 흥분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오디오북이라는 말은 아니다)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근육 속의 단백질량은 넓적다리에서만 약 10%가 줄었고,
종
아리나 사두근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즉, 곰은 겨울잠을 자는 동안 중요한 근육은 지켜내면서 다른 덜 중요한 조직을 태워 에너지를 얻는다는 얘기다. 그래야만 겨울잠에서 깨어났을 때 충분히 강한 근력을 내서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개처럼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품
종
이 있지요. 또 애완견은 예쁘고 귀여운 외모를 가진 품
종
이 오래 살아남고 또 자손을 번식하기가 쉬웠어요. 그래서 사람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귀여운 외모를 갖도록 진화했다는 주장도 있답니다 ... ...
[과학뉴스] 작은 카멜레온의 강한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끈적끈적한 혀에 달라붙게 되지요. 연구팀은 전체 카멜레온
종
의 약 10%에 해당하는 20
종
의 카멜레온을 이용해 실험을 했어요. 카멜레온이 사냥할 때 내미는 혀의 길이와 속도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몸집이 가장 작은 ‘람폴레온 스피노서스’가 가장 빠른 속도로 혀를 뻗는다는 사실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