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전공
"(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게 과학자들의 의견입니다. 매머드 게놈 70% 해독소설 속에서 공룡 부활 연구를 이끈 유
전공
학자 헨리 우가 “사실 우리가 추출하는 DNA의 많은 부분이 파편이거나 불완전합니다”라고 쥬라기 공원을 찾은 공룡학자 앨런 그랜트 박사(주인공) 일행에게 설명하고 있지만 그 정도도 아닌 셈이지요. ... ...
비스킷을 커피에 맛있게 적셔 먹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겸임교수인 저자가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대에서 자연과학을
전공
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엮은 책이다.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에 연재돼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해학과 재치가 어우러진 생생한 물리학 입문서를 만나보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 ...
의사가 되기 위한 과학고 진학의 이점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입학은 큰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의대에 곧바로 진학하는 방법과
전공
과 무관하게 대학을 졸업하고 의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하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미국 의대나 호주의 몇몇 의대에서는 이 같은 제도를 이미 실시해오고 있습니다.의학전문대학원 체제에서는 4년간의 ... ...
인성과 지성 갖춘 과학영재의 배움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울산과학고가 과학 영재를 키우기 위해 마련한 특색 프로그램이다. 100권 이상의
전공
도서와 교양 도서 읽기, 영어 TEPS 650점 이상 취득하기, 100시간 이상 자원봉사 활동하기가 이에 해당한다.글로벌 리더십 프로그램은 영어 기반 교육, 해외 이공계대학 체험 연수, 연 10회 이상의 명사 초청 특강을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그림이 그려 있었다.“중학교 때 한번은 만화에 나오는 레이저총을 만들고 싶어서 대학
전공
서를 뒤적이며 레이저 시스템을 만들었어요. 거기엔 값비싼 루비가 들어가야 하는데, 어머니의 보석함에서 루비를 슬쩍했다가 나중에 들켜 혼쭐이 나기도 했지요.”나이가 들어 실제 로봇을 개발하는 일은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흥분할 것이다.피터 맥그로스HMS 비글호 재단의 공동 창립자.영국 리버풀대에서 동물학을
전공
했다. 자유기고가이자 전문 항해사다.21세기 비글호 항해사1. 비글호를 건조하게 된 동기는 뭔가?우리는 1831~1836년 찰스 다윈을 태우고 항해했던 비글호의 현대판을 건조할 계획이다. 다윈 탄생 200주년을 ... ...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일을 맡는다. 연관 산업체인 자동차 회사나 조선해양 업체에서도 우주항공구조공학
전공
자를 선호한다. 대학원을 졸업한 뒤에는 항공우주연구원이나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한다. 국제적으로 분쟁이 많은 항공법, 우주법 관련 변호사나 항공우주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찰스 다윈이 지금 ‘종의 기원’을 다시 쓴다면 어떤 내용으로 채워질까.그가 유전자라는 개념을 알았더라면 ‘종의 기원’ 내용은 달라졌을까.‘진화발생생물학’ 또는 간단히 ‘이보디보’로 불리는 ‘21세기판 종의 기원’을 들여다보자.나의 사랑하는 부인 엠마에게.오늘은 오랜만에 미국에 ... ...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들었다. 아버지의 뜻에 따라 에든버러의대에 입학하기도 했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전공
을 법학으로 바꿨다가 다시 신학을 공부해 목사가 됐다. 목사가 창조론과 반대되는 진화론을 정립했다는 사실이 아이러니다.“삼촌의 정원에서 배운 사격, 케임브리지에서의 딱정벌레 수집, 헨슬로와 함께한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5~6년 만에 이 교수는 나노막대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학부 때 물리학을
전공
한 덕분일까. 관찰한 현상을 응용하는데 만족하지 않고 그 원리를 규명하는 데도 힘을 쏟은 결과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좀 더 나은 결과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앞으로도 다양한 나노구조물과 나노소자를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