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대신 정확도가 높은 것처럼, 각 감도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말한다. 게임을 시작하기 전 자기만의 감도를 찾아 똥손을 벗어나 보자. 너는 총을 쏘거라, 나는 계산을 할테니오버워치에는 군인, 닌자, 프로게이머, 유전자 조작 고릴라 등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사용하는 무기도 제각각인데, 총을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테러리스트? 영웅이 아니라?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지? 마고는 왜 아빠가 자기를 구했다고 하는 거지?’대장이 계속 말을 이었다.“너희 아빠는 신세계 호가 다른 목적지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어. 우리 모두 그랬지. 네 엄마도. 하지만 여론은 우리 생각과 반대였어. 그래서 비밀결사대를 조직했지.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것이다.나는 기상청과 시청에 글을 올렸다. 국지성 폭우가 점점 더 심해지고 있으므로, 갑자기 비가 많이 내릴 때를 대비해서 하천에 만들어 놓은 홍수 방지용 둑을 더 높고 튼튼하게 긴급 보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나는 내가 올해 내내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던 갑작스러운 비를 완벽하게 예측한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부르는 말이다.1974년 과학자들은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외계인과 소통하기 위해 지구의 자기소개서를 쏘아 올렸다. 바로 그 유명한 ‘아레시보 메시지’다. 1과 0, 두 가지 신호로 이뤄진 1679자리의 아레시보 메시지는 2차원으로 바꿔야 해석이 가능하다. 신호를 일렬로 죽 늘어놓으면 아무 규칙이 ... ...
- 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노래한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결심하게 만들었어요. 그렇게 시작한 게 ‘소박한 집합론’이고, 이발사의 역설 같은 자기 모순적인 역설에서 모순을 없애는 방법도 이 집합론 덕분에 가능했어요.Q 수학자는 아직도 역설 문제에 관심이 많나요?수학자는 역설을 새로 발견하는 것보다 기존의 역설을 없애고 싶어해요. 현대 수학은 187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중 누구든 잠에서 깨어나면 ‘일요일에 왕자가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왔고 공주 둘 중에 자기 자신만 깨어난 상황’과 ‘왕자가 던진 동전이 뒷면이 나와서 실험에 참여한 공주가 모두 깨어난 상황’ 중 지금이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 고민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다른 공주의 상태를 알 수 없기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키우는 두 살 된 베들링턴테리어 ‘베리’(왼쪽), 그레고리 번즈 교수의 반려견으로자기공명영상(MRI)을 찍고 있는 래브라도 리트리버 ‘칼리’의 모습이다. 그레고리 교수는 그의 책 ‘반려견은 인간을 정말 사랑할까?’에서 “세계에 7억 마리의 개들이 있으므로, 단 2마리의 개를 이용한 연구를 ... ...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자료는 예시이며, 갤럭시노트7의 금속 구성 비율은 조금 다를 수 있다. 베릴륨과리튬은 전자기기를 만들 때 필수인 금속인데도, 사용량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어서 빠져 있다 ... ...
- [가상인터뷰] 벌새의 특별한 비행 능력, 뇌에 답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먹기도 하더라고! 벌새야, 이렇게 자유자재로 날 수 있는 비결이 뭐니? 안녕, 벌새야!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하세요? 저는 벌을 닮았다고 해서 ‘벌새’라는 이름을 갖게 됐어요. 벌처럼 부지런히 날갯짓을 해 꽃에 있는 꿀이나 곤충을 먹는답니다. 날갯짓을 할 때도 다른 새처럼 ‘파닥파닥’이 ...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다르다.몇몇 국가에서는 존엄사를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미국은 1993년 ‘환자자기결정법’, 네덜란드는 2001년 ‘생명종결 및 자살조력 통제 법률’, 독일은 2009년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서울 보라매병원에서 회복 가능성이 거의 없는 환자를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