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 이후 국내에서 수집한 대장균과 폐렴막대균 등 장내세균 9300주 중 세 개의 세포주가 콜리스틴 항생제에 죽지 않았다고 지난해 11월에 발표했다. 콜리스틴은 뛰어난 항균작용으로 ‘인류 최후의 항생제’라고 불리는 약제다. 이형민 질병관리본부 의료감염관리TF 팀장은 “당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암세포도 생명인데 죽일 수 없다.”2013년 방영됐던 드라마 ‘오로라 공주(극본 임성한)’에서 수많은 시청자를 ‘멘붕’에 빠뜨렸던 대사다. 혹시 이 대사에 황당함을 느끼셨는지. 하지만 이번 기사를 읽고나면, 어쩌면 묘한 통찰(?)을 담은 대사라는 생각이 들지 모른다. 자연의 생명체들처럼 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첫 번째 질문 남자는 하나, 여자는 둘?세포 수준에서 남성과 여성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성염색체입니다. 남성은 XY, 여성은 XX를 갖고 있는데요. 여기서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여성이 남성보다 X염색체를 하나 더 갖고 있기 때문에, X염색체에 있는 유전자가 여성에게서 두 배로 발현될 수 있다는 점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5년 암 학계는 시끌시끌했다.그 해 1월 암 위험이 무작위적인 불운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가 ‘사이언스’에 실렸기 때문이다. 같은 해 12월에는 ‘네이처’에 곧바로 반박하는 논문이 나왔다. 그리고 약 1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한동안 잠잠했던 논란이 다시금 불을 지피는 모양새다. ‘암이 불운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서울 한남동에 있는 ○○○, 대전에 있는 ○○○부터 프랑스 시골에 있는 빵집들까지! 기자는 맛있는 빵이 있다는 얘기를 들으면 일단 찾아가는 ‘빵순이’다. 이번 특집을 준비하면서 평소에는 쉽게 접할 수 없는 특별한 빵을 직접 만들어 맛을 봐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세상에서 최초로 탄생한 ...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벌들이 식물의 사랑을 전하기 위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는 건 인정해. 하지만 우리 박쥐도 그에 못지 않게 사랑의 배달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우리는 사막에 사는 식물과 야생 바나나, 망고, 구아바 등 300여 종의 열대 과일들이 사랑의 결실을 맺도록 돕고 있단다. 전략 1 아무도 모르는 비밀 언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너무 차갑거나 혹은 뜨겁거나 둘 중 하나가 아니다. 물곰이라고 불리는 벌레 ‘완보동물(이하 물곰)’는 몸길이가 0.1~1mm에 불과하지만 영하 270C° 이하는 물론 영상 150C° 이상의 온도에서 살 수 있다. 생명체에 치명적인 방사능 농도에서도 생존한다. 물곰이 이런 극한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비밀 ...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꽃가루와 곰팡이 포자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2000m 고도까지 날아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뮌헨 헬름홀츠연구소와 뮌헨공대,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의대 공동연구팀은 자동차와 비행기를 이용해 그리스 테살로니키 지역의 해발 0m에서 2000m까지 다양한 고도에서 공기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광합성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보자. 식물이 없고 양분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얻을 산소도 없는, 생명체가 살기 혹독한 환경일 것이다. 조류와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모두 엽록체 덕분이다. 엽록체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세포 속 기관으로, 한 때는 독립생활을 하던 남세균(Cyanobacteria)이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장수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노화다.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어떻게 천천히 늙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거쳐 결국은 ‘인간은 왜 늙는가’라는 원초적인 질문으로 수렴한다.인간은 왜 늙는가. 아주 어려운 질문이다. 그 누구도 이 질문에 대해 명쾌한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