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배달
송달
인솔
보도
납품
명도
d라이브러리
"
인도
"(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표면이 작은 조각으로 쪼개져서 내려앉을 위험에 처해 있다. 웅장한 건축물로 유명한
인도
의 타지마할은 인근에 있는 발전소와 정유공장에서 내뿜는 아황산가스 때문에 건축물의 색이 변하고 대리석이 파괴되었다. 1876년 7월 미국의 독립 1백주년 기념으로 프랑스가 미국에 선물한 뉴욕의 명물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다. 메소포타미아 시대엔 베텔기우스와 그 이웃한 별들이 왕의 별자리로 알려졌었다.
인도
와 페르시아에서는 베텔기우스가 팔로 불려지기도 했다.이 별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들 중에서 일곱번째로 밝은 별이다. 또한 이 별은 그 평균 밝기가 0.8등급이며, 통상 6.4년을 주기로 밝기가 0.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0'호를 개발해 연근해 해저 환경조사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 잠수정은 현재 해양연구소의
인도
돼 대륙붕의 해저생태계조사와 침몰된 유조선의 상태조사 등에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양250호의 개발을 통해 천해용 유인 잠수정의 설계 제작, 시험평가 및 운용기술을 확립했다. 이렇게 축적된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인도
의 힌두교도들은 가비얼을 신성시하고 숭배하기 때문에
인도
에 많은 수가 살고 있다.크로코다일과 앨리게이터의 구별은 이렇게 한다. 입을 꽉 다물었을 때 크로코다일은 아래 넷째번의 이빨이 겉으로 나타나 보이는데 반해 앨리게이터는 이빨이 위턱 이와 안쪽으로 서로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공중위생국장관 에베레트 쿠프와 43년간 곡물연구를 하면서 '녹색혁명'에 큰 업적을 남긴
인도
의 농업전문가 M.S.스와미나탄이었다.91년 노벨상 과학부문 수상자들-실용적 기여도 높이 사올해의 노벨축제는 10월7일 스웨덴 카롤린스카의학연구소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세포생리학자인 에르빈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중국이 차례로 핵실험에 성공함으로써 핵보유국가 대열에 진입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도
가 1974년 핵실험을 한 뒤 공식적으로 핵무기 개발을 포기함으로써 핵실험만 성공시킨 준핵국(準核國)으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 핵보유국들은 원자폭탄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미국은 1950년 원자폭탄의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협 기대치는 더 커질 수도 있다.현재 위성간격은 평균 3°로 유지할 수 있다. 태평양과
인도
양이 조금 밀도가 낮은 상태이고 대서양 상공은 유럽 미국 캐나다 위성으로 밀집된 상태다. 따라서 이곳의 자리지키기(station keeping) 범위 한계는 한결 좁아 0.1°까지 낮아진다. 쉽게 설명하자면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양념을 넉넉히 뿌려야 한다고 쓰여 있다.개고기를 먹는 소위 구육권(狗肉圈)은 중국 만주
인도
차이나와 버마 타이 등 동남아 그리고 중남미 및 북극권(北極圈)을 포함하고 있다.일본인들도 개화이전의 봉건시대에는 개를 집아 먹었다. 그러다가 개띠 해에 태어난 어느 장군(쇼군)이 개를 잡아 먹으면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잉카제국의 거대건축물들을 봐도 당시 사람들이 태양신앙을 갖고 있었음을 나타내 준다.
인도
의 힌두교에서는 아직도 불을 신성시, 화장풍습을 지키고 있다.(5) ③ 염소산칼륨을 묻혀두고 그것을 붉은 인에 비벼 불을 붙이는 것은 붉은 인 성냥의 원리다. 침적성냥은 염소산칼륨과 진한 황산을 사용,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규모와 세기가 큰 엘니뇨로 기록되고 있다. 그 강력하고 광범위한 엘니뇨현상으로 인해
인도
네시아 호주, 남부 아프리카 등지의 밀 호밀 보리 등 농작물 생산량이 그 전해에 비해 50%나 감소했다. 또 에콰도르와 페루에서는 연간 강수량의 최고치를 갱신했고, 어획량이 81년에 비해 역시 절반으로 줄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