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배달
송달
인솔
보도
납품
명도
d라이브러리
"
인도
"(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표면이 작은 조각으로 쪼개져서 내려앉을 위험에 처해 있다. 웅장한 건축물로 유명한
인도
의 타지마할은 인근에 있는 발전소와 정유공장에서 내뿜는 아황산가스 때문에 건축물의 색이 변하고 대리석이 파괴되었다. 1876년 7월 미국의 독립 1백주년 기념으로 프랑스가 미국에 선물한 뉴욕의 명물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하다.(6) ③ 상대를 위협할 때 목을 세우는 뱀을 일반적으로 코브라라고 한다. 코브라는
인도
를 비롯해서 말레이지아 필리핀 그리고 아프리카 대륙 등지에 퍼져 있다. 그들이 먹이를 잡을 때는 몸의 대부분을 풀속에 숨기고 꼬리만 밖으로 꺼내 살살 흔든다. 그러면 쥐나 새 등이 지렁이로 착각하고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인도
의 힌두교도들은 가비얼을 신성시하고 숭배하기 때문에
인도
에 많은 수가 살고 있다.크로코다일과 앨리게이터의 구별은 이렇게 한다. 입을 꽉 다물었을 때 크로코다일은 아래 넷째번의 이빨이 겉으로 나타나 보이는데 반해 앨리게이터는 이빨이 위턱 이와 안쪽으로 서로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0'호를 개발해 연근해 해저 환경조사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 잠수정은 현재 해양연구소의
인도
돼 대륙붕의 해저생태계조사와 침몰된 유조선의 상태조사 등에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양250호의 개발을 통해 천해용 유인 잠수정의 설계 제작, 시험평가 및 운용기술을 확립했다. 이렇게 축적된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협 기대치는 더 커질 수도 있다.현재 위성간격은 평균 3°로 유지할 수 있다. 태평양과
인도
양이 조금 밀도가 낮은 상태이고 대서양 상공은 유럽 미국 캐나다 위성으로 밀집된 상태다. 따라서 이곳의 자리지키기(station keeping) 범위 한계는 한결 좁아 0.1°까지 낮아진다. 쉽게 설명하자면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공중위생국장관 에베레트 쿠프와 43년간 곡물연구를 하면서 '녹색혁명'에 큰 업적을 남긴
인도
의 농업전문가 M.S.스와미나탄이었다.91년 노벨상 과학부문 수상자들-실용적 기여도 높이 사올해의 노벨축제는 10월7일 스웨덴 카롤린스카의학연구소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세포생리학자인 에르빈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양념을 넉넉히 뿌려야 한다고 쓰여 있다.개고기를 먹는 소위 구육권(狗肉圈)은 중국 만주
인도
차이나와 버마 타이 등 동남아 그리고 중남미 및 북극권(北極圈)을 포함하고 있다.일본인들도 개화이전의 봉건시대에는 개를 집아 먹었다. 그러다가 개띠 해에 태어난 어느 장군(쇼군)이 개를 잡아 먹으면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중국이 차례로 핵실험에 성공함으로써 핵보유국가 대열에 진입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도
가 1974년 핵실험을 한 뒤 공식적으로 핵무기 개발을 포기함으로써 핵실험만 성공시킨 준핵국(準核國)으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 핵보유국들은 원자폭탄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미국은 1950년 원자폭탄의 ... ...
희귀생태계 간직한 알다브라, 관광지로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과학자들만이 출입해왔다. 그 덕분에 이 거대한 산호섬은 15만마리에 이르는 거북과
인도
양에서는 유일하게 이 지역에만 남아있는 날지 못하는 새들의 보금자리로 보존돼 왔다.관광지로 개발된다고는 하나 위락시설이 들어서는 유흥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직 "이곳의 독특한 생태계에 특별한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잉카제국의 거대건축물들을 봐도 당시 사람들이 태양신앙을 갖고 있었음을 나타내 준다.
인도
의 힌두교에서는 아직도 불을 신성시, 화장풍습을 지키고 있다.(5) ③ 염소산칼륨을 묻혀두고 그것을 붉은 인에 비벼 불을 붙이는 것은 붉은 인 성냥의 원리다. 침적성냥은 염소산칼륨과 진한 황산을 사용,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