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결국 이들의 실험 방법으로는 상온 핵융합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후에도 수많은 연구자가 상온 핵융합에 성공했다는 연구를 발표했지만 모두 거짓임이 밝혀졌죠.사실 상온 핵융합은 이론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두 개의 핵이 융합하기 위해서는 강한 전기적 반발력을 이겨내야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상아 없이 태어나는 암컷 코끼리가 급증했다. 영국 켄트대 연구팀에 따르면 1992년 이후 태어난 암컷 코끼리 중 3분의 1이 상아 없이 태어났다. 암컷 코끼리가 상아 없이 태어날 확률은 본래 4%에 불과하다. 연구를 이끈 도미니크 곤칼브스 켄트대 연구원은 “내전 당시 상아가 없는 코끼리들만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딱 일 년만, 글을 쓰며 살아 보자고 생각했다. 실험하듯 내린 결정이었다. 작가가 된 이후의 삶2018년에는 프리랜서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길게 잡지 않고 일 년만 작가로서 살아남기를 시도해 보고 실패하면 다른 일을 하러 가자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한 달 용돈으로 쓸 만큼도 수입이 없어서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색깔이 같으면 이를 하나하나 저장하지 않고 한 데 압축하는 방식으로 용량을 줄였지요.이후 JPEG, PNG 등 더 효율적으로 용량을 압축하는 디지털 이미지 형식이 등장했지만, GIF는 틈새시장에서 살아남았어요. 비결은 여러 장의 이미지를 웹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반복 재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에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먼저 아라온호에 승선해 있던 의사 한상호 선생님이 원양어선원들의 건강을 살폈어요. 이후 선원들을 아라온호의 2층에 따로 머물게 한 채 한국으로 가는 바닷길에 올랐지요. 이때 배 2층 전체를 완전히 격리하고, 공기 흐름 밸브를 조절해 2층의 공기가 다른 층으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했어요.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난해 200명이 모인 발표회에서 준비했던 동영상을 컴퓨터 오류로 틀지 못했다”며, “이후 중요한 영상은 GIF로 준비한다”고 말했어요. 동영상은 용량을 많이 줄이는 만큼 압축을 위한 계산이 복잡한 반면, GIF는 압축 방식이 단순해 오류가 적답니다. 세균에 ‘움짤’을 저장한 과학자가 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 현상은 1838년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페히너에 의해 최초로 발견됐어요. 이후 영국의 과학자 벤함이 팽이를 이용해 설명했지요. 이 때문에 ‘페히너의 주관색’ 또는 ‘벤함의 팽이’라고 불리게 되었답니다. 팽이의 색과 도형을 다르게 바꾸면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지, 다양하게 체험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블랙홀’이라고 불려요.1915년 아인슈타인이 블랙홀의 존재를 처음 이론적으로 증명한 이후 1960년대까지 물리학자들은 블랙홀을 두고 ‘완전히 붕괴된 중력 물체’ 등 어려운 말로 불렀어요. 그러다 미국 이론물리학자 존 휠러가 1967년 열린 학회에서 우연히 ‘블랙홀’이라는 단어를 듣고는 여러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정답이 올라온 경우 해당 게시글 작성자에게 내려달라고 부탁했다. 또 정답이 유출된 이후에 미궁을 깬 참여자는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지 않는 등의 조치를 통해 지금까지도 잘 유지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의 한계, 미궁 게임으로 극복~!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불가능해지자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해요. 17세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는 이런 구조를 ‘분수 지수’라고 불렀어요. 이후에도 프랙털과 같은 개념을 언급한 수학자가 있었지만 제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렀어요. 그러던 1967년 브누아 망델브로가 영국 해안의 길이를 계산하는 논문에서 ‘프랙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이런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