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뉴런도 여러 개의 입력 신호 xi를 받아 하나의 신호 y를 출력합니다. 또 뉴런은 일정 크기 이상의 자극이 주어져야 반응하는데, 이 자극의 크기를 임계값이라고 합니다. 인공 뉴런에서는 각 입력 신호에 고유한 가중치가 부여되는데, 가중치가 클수록 해당 신호가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입력 신호(xi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물리학과 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하려면 적어도 1만 개 이상의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다량의 미술 작품 데이터는 시대 흐름에 따른 특징을 찾는 등 경향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팀은 미술 작품 데이터를 분석해 미술 사조의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대기층은 비행 생명체가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하지만 질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지구형(암석형) 행성이 아닌 목성형(가스형) 행성으로 진화할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실제 질량이 지구의 2배가량 무거우면 해왕성 크기의 가스형 행성으로 진화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비참하게 패배해서 망한 모습을 보여줘야만 했다. 그래야 괜히 고양이를 응원하게 된 이상한 성격의 우리우리스 종족 일부를 다시 되돌려 하나의 단결된 상태로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우리우리스 위원회는 3차전에서는 우리우리스 종족 중 최고로 유능한 전사가 직접 자신의 몸을 생물학적으로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공정함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법적·정책적 제도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윤리’는 일종의 바른생활과 같은 좁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해외에서 ‘ethics’는 바른생활을 뒷받침할 법적·정책적 제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말했다. ...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했어요. 그리고 이중 30%만 복원해도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 종을 70% 이상 구하고 465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어요.다행히 올해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전 세계가 상처받은 지구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요. 2019년 3월 1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 ...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소의 메탄가스 배출을 80% 이상 줄일 수 있는 해조류 사료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붉은 해초인 ‘바다고리풀’을 소의 사료에 섞었어요. 그 결과 소가 사료를 소화할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최대 98%까지 줄일 수 ... ...
-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한답니다.그러나 핫팩을 사용할 때에도 조심해야 해요. 50℃ 내외의 온도에 약 1시간 이상 노출되면 저온 화상을 입을 수 있거든요. 저온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장시간 같은 부위에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답니다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내려갑니다. 3. 합성함수 인공신경망은 여러 개의 함수가 합쳐져 있습니다. 이때 둘 이상의 함수를 합친 것을 ‘합성함수’라고 합니다. 만약 y=ax+b, z=cy+d라는 두 함수가 있을 때 오른쪽과 같은 순서로 합성한다고 하면, 1단계는 x를 입력한 뒤 y=ax+b를 출력하고, 2단계는 그 출력된 ax+b를 다시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연구자들이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로저 펜로즈는 1969년 블랙홀을 두고 이상한 이론을 제안했다. 블랙홀에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후에 그의 이름을 따 ‘펜로즈 과정(Penrose process)’이라 불리게 된 이 이론을 통해, 그는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