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이이제이(以夷制夷)’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1월 16일자에 땀 속에 있는 화학물질의 특성을 이용해 땀 배출을 막는 새로운 방법을 발표했다. 땀샘에서 생성된 땀은 땀관을 통해 땀구멍으로 이동한다. 연구팀은 이런 땀이 아직 땀관 속에 들어 있을 때 증발시키는 전략을 세웠다. 땀을 말리면 인체가 땀과 함께 배출하는 나트륨 이온, 염소 이온,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라산과 지리산에서 구상나무를 관찰한 뒤, 이를 전나무속 분비나무와 구분되는 하나의 새로운 종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1920년 학계에 ‘Abies koreana’라는 이름으로 보고했다. 이 과정에서 윌슨은 한국에서 구상나무 씨앗을 가져와 아놀드식물원에 심었는데, 이것이 자라 큰 나무가 됐다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개발하는 연구에도, 화산폭발을 예측하는 연구에도 적용됐다. 뿐만 아니라, 먼 우주의 새로운 행성을 발견하는 연구에도 인공지능의 빠르고 정확한 분석이 돋보였다. 인공지능과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장착한 지능형 로봇은 더 정교하게 발전했다. 과학동아에서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인 그래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코로나19로 다사다난했던 2020년도 어느덧 한 달 남았네요. 그 어느 때보다도 주위 사람들의 소중함을 느꼈던 한 해가 아닌가 싶은데요, 수학자에게도 소중한 수학 가 ... 수 있기를 기원하겠습니다. 한 해 동안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2021년 새로운 이야기로 찾아올게요 ... ...
- [기획] 이런 기사가 있었지! 다시 보는 수학동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김연진 기자 | 국내 유일의 수학 잡지 ‘수학동아’에서 그토록 알려주고 싶었던 수학 개념과 수학자는 누구일까요? 또 한 해 동안 가장 큰 인기를 누렸던 기사 ... 바로 다시 한번 읽어보세요! 처음 읽었을 때를 추억할 수도 있고, 그때는 알지 못했던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도 있을 겁니다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 해가 벌써 다 가고 곧 새해입니다. 지구가 1억 5000만km 떨어진 태양 주위를 초속 약 30km로 한 바퀴 공전하는 동안 정말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신 ...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한 길이지만, 온 인류가 힘을 합쳐 해낼지 또 누가 알겠습니까. 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 또 한 번 희망을 품어 봅니다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그때가 된다면 현재 핵융합 연구자들은 연구현장에서 물러나고 새로운 세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들이 바로 현재 청소년들이죠. 지금까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바탕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는 똑똑하고 창의적인 미래 세대의 연구자들이 완성해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성공했다는 의미가 크다. 이뿐만 아니라 그래핀을 합성하는 공간에서 합금을 만든다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 의미도 있다.또 반도체 웨이퍼에 견줄 수 있는 크기의 고품질 다층 그래핀을 만들었다는 의미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비 크기의 한계가 있어 직접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설계 변경과 20회가량 연소 시험을 진행한 끝에 연소 불안정 현상을 해결할 수 있었다. 새로운 시작을 기대하며 2018년 11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팀은 어렵게 연소 불안정 문제를 해결한 75t급 액체엔진 1기를 시험발사체에 적용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엔진은 ...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같은 품질의 이미지나 동영상에 비해 용량이 커서 발생한 일이에요.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파일 형식이 제안되고 있어요. 2004년 개발된 APNG가 대표적이에요. APNG는 GIF보다 적은 용량에도 더 많은 색깔을 구현하고, GIF처럼 움직일 수 있지요. 초기에는 웹브라우저 대부분이 APNG를 정지한 채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