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속에 놓여있어 발견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버로우 박사는 차세대 적외선
망원경
이 완성되면 이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탐사 팀은 1998년 10월과 1999년 1월과 6월에 한국천문연구원의 보현산 천문대 1.8m 광학
망원경
으로 멀리 있는 여러 은하단들을 세 파장대에서 CCD(charge coupled device:미약한 빛을 검출하는 첨단 장비) 촬영을 하였다. 이 자료들을 분석한 후 1월 17일과 6월18일의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새로운 초신성이 R.A=15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대기도 있어 미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타이탄은 8등급으로 작은
망원경
으로도 움직임을 관찰해 볼 수 있다. 왼쪽의 사진은 작년의 비슷한 시기에 찍은 것으로 관측하는 날의 행성 위치를 비교해보면 목성과 토성이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옛 사람들도 이런 움직임을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1월 7일 충을 맞이하는 토성도 동쪽 15도 떨어진 가까운 거리에서 밝게 빛나고 있어
망원경
으로 두 행성의 밝기와 모습을 비교해 보면 흥미로울 것이다.■8일-9일: 용자리 감마유성군9일 새벽 북쪽하늘 용자리에서 주기 6.61년인 자코비니-지너 혜성에 의해 생기는 별똥별을 볼 수 있다. 작년에는 지난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보면 흑점의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투영법으로 관찰할 때도 1분에 두번 정도
망원경
이 과열되지 않도록 식혀주는 것이 필요하다.일식의 원리태양은 지구보다 1백9배 가량 크지만 달은 지구의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태양은 달보다 약 4백배나 멀리 있어 지구에서 본 달과 태양의 ... ...
3백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대적반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발견된 이래 목성의 대적반은 3백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목격되고 있다. 최근 NASA는 허블
망원경
이 찍은 1992년에서 1999년에 걸친 대적반의 모습을 공개했다. 목성의 대적반은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고 있지만, 자세히 보면 모양과 크기, 색깔이 계속해서 변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대적반은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시리우스 별 위의 외뿔소자리를 가로지른다. 밝기는 약 9등급으로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망원경
이나 사진활영으로 관찰할 수 있다.화성과 목성 사이에 주로 있는 소행성은 행성처럼 별에 비해 상대적인 움직임이 빨라 일정시간을 두고 찍어보면 위치가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팔라스는 9월 한달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우리은하에서는 대략 1백년에 하나 정도의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다고 한다. 그러나
망원경
이 발명 된 이후 우리은하 내에서 초신성이 폭발하는 장면은 한 번도 목격된 적이 없다.역사상에 기록으로 남아 있는 최초의 초신성은 1006년에 있었다. 이리자리 근처에서 갑자기 금성보다 1백배나 밝은 빛을 ... ...
혜성 탐사 우주선 발진 준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라프 박사는 덧붙였다.충돌은 지구로부터 약 1백32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므로
망원경
을 이용하면 지구에서도 관측이 가능하다. 물론 지구에 위협이 되지 않으며 충돌로 생긴 분화구는 혜성 핵의 전체 크기와 비교해 볼 때 매우 작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은하 충돌로 새 은하 형성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떨어져 있는 십여 개의 은하들이 충돌, 응집하는 흥미로운 사진이 허블우주
망원경
에 잡혔다. 관측된 천체들은 무려 80억 광년이나 멀리 떨어져 있어 초기우주에서 은하가 발생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주의 나이는 현재 약 1백20억 광년으로 추정된다.천문학자들은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