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두 층 모두 규소가 절반가량을 차지해 구성성분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했다.
다만
칼슘의 경우 유약층이 태토층에 비해 24배나 많았는데, 김 교수는 “유약층에 칼슘을 많이 포함시켜 비정질 유리로 만들어 유약층과 태토층 계면에서 반사율을 높임으로써 품위있는 은은한 고려청자의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곳은 2가지 모두가 복합돼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그 둘을 분리하기 어렵다.
다만
성운이 보이는가 보이지 않는가를 따져봐야 한다. 이 판독에는 펠리칸성운이 보이는가가 중요하다. 북아메리카성운 내부에는 산개성단이 존재하므로 별과 성운의 구분이 어려운 반면, 펠리칸성운에서는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따라서 그는 현재 검토 중인 3개 노선 모두 한일터널의 노선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추후 최종 노선을 결정하기 위해서 단층대와 깊은 수심, 빠른 조류, 계절 태풍 등 세 해협의 지리적 환경에 대한 정밀 지질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궁금증 2 어떤 터널을 만들 것인가? 해저터널은 터널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따라서 그 이전에 일어난 역사책에 기록된 지진은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
다만
기술된 내용을 보고 진도를 추정할 뿐이다. 용어상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잠깐 지진의 ‘규모’ 와 ‘진도’ 의 차이를 살펴보자.지진의 규모란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알려준다. 리히터 규모의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구경할 때, 마약을 할 때 인간은 기대와 흥분, 그리고 더 지속하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
다만
이제껏 fMRI를 통해 알아낸 뇌의 활성화는 이런 공통된 인간의 심성을 만들어내는 뇌의 작용만을 보여준 것 같다. 이 세가지 행위의 근저에 놓인 엄연한 차이를 구별해내기에는 아직 인간의 기술이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연구에도 불구하고 경석을 왜 기역자 모양으로 만들었는지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다만
기본진동수와 화음을 이루는 조화진동수의 얻어 청아한 음을 내기 위한 조율방법으로 추측된다. 편경 소리는 문예진흥원 사이트(www.kcaf.or.kr/cello/percuss/pyun2.html)에서 들을 수 있다.이칙(夷則)12율려의 9번째 율.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다른 종의 인류를 멸종시켰는지 아니면 피가 섞였는지는 아직까지 확실치 않습니다.
다만
최근 분자생물학 연구 결과는 혼혈이 되지 않았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습니다.”인류의 기원이 아직까지 상당부분 베일에 가려져 있다는 사실에 설명을 듣던 선생님들도 새삼 놀라는 눈치다. 학자들 ... ...
04. 유전자 부실하면 몸조심해 살아 남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요인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암은 세포내 유전자 돌연변이가 누적된 결과다.
다만
이런 돌연변이는 일생동안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고 그 빈도는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인체는 세포가 적시적소에서 분열하고 소멸해야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세포의 분열을 촉진하는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왜 패러디를 하다 만 것일까요.정확하게 말하면 이 그림에도 학생들이 있습니다.
다만
그 학생들이 그림을 보는 사람들이라는 것이죠. 파커는 유리 거울 위에 그림을 그려 화면 빈 공간에 그림을 보는 사람들이 비춰지게 만들었습니다. 렘브란트의 그림에서는 툴프 박사의 시선으로 해부 강의를 ... ...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허블우주망원경 사진과 고흐 작품은 똑같진 않지만 전체적인 느낌이 굉장히 비슷하다.
다만
둘의 차이는 색조일 뿐이다. 고흐의 그림에는 푸른 하늘 배경에 흰색 구름이 굽이치고 노란 별빛이 소용돌이치는 데 반해,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에는 검은 우주공간에 붉은 별을 중심으로 파란 별들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