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 수학으로 보글보글~ 소문난 파스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양 끝에만 홈을 낸 두 번째 반죽은 물결 모양의 입체가 되었지요. 이렇게 반죽에 내는 홈의 위치와 간격, 그리고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파스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죽이 끓는 물을 머금으면 어떻게 바뀌는지 수학식으로 표현한 뒤 컴퓨터로 모의실험해 반죽의 모양을 설계했거든요 ... ...
-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또다른 레이저로 확인했다. doi: 10.1073/pnas.2023356118 입자의 무게 때문에 스프링이 내려가면 이 위치를 측정하고, 스프링이 다시 최고점으로 올라갈 때 집게 역할의 레이저를 움직여 스프링이 달린 기준점(앵커)의 위치를 레이저로 상승시켰다. 그 결과 입자의 위치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행성 탄생 과정에서 정해진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태양계 내에서 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을 찾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그간 골디락스 영역에 집중됐다. 생명체에게 적당한 온도는 물론,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큰 지역이기 때문이다. 데이먼비르 그레윌 미국 라이스대 지구, 환경 및 행성학과 연구원팀은 행성 발달 과정과 주변 환경에 의해 생명체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유전체 해독 방식은 유전체 내 반복서열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하는 등 한계가 있었다. 12개국 50여 개 기관이 참여한 ‘척추동물 유전체프로젝트(VGP·Vertebrate Genomes Project)’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체 해독 방식을 개발해, 완성도가 98%에 이르는 척추동물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긴 숨을 내려놓으며 수긍했다.“모뉴먼트엔 뭐라고 쓴 거야?” 요냐가 리모컨을 바닥에 내려놓으며 물었다. “그냥 뻔한 이야기야.” 소요는 옛 기억을 떠올리며 잠시 침묵했다. 요냐는 재촉하지 않았다.“돌아와 줘서 고맙다고.”소요는 밤하늘 너머를 바라보며 만난 적 없는 사람에게 닿지 않을 ... ...
- [매스미디어] 분노의 질주 : 더 얼티메이트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분노의 질주 언리미티드(2011)’에서부터 출연한 루크 홉스(드웨인 존슨)를 주인공으로 내세웠지. 현재까지 메인 시리즈가 9편, 스핀오프 작품 1편 등 총 10편이 장편 영화로 나온 거야. 앞으로도 두 개 작품이 추가로 제작될 예정이라고 해. ● 돌발 수학 문제차저 헬캣에는 실린더가 8개 달린 V8 ...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났을 때 골든타임 안에 병원에 가려면 빠른 운송 수단이 필요합니다. 그중 하나가 헬기 내에 첨단 의료장비를 갖추고 있어 ‘날아다니는 응급실’이라 불리는 닥터헬기지요. 닥터헬기로 이동하면 차로 이동할 때보다 약 1시간 30분 이상 시간을 줄일 수 있어요. ●인터뷰 - 1분 1초가 중요한 환자 ... ...
- 수콤달콤 연구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1만의 1000배는 얼마일까요? 세상에서 가장 큰 수는 무엇일까요?큰 수를 세는 여러 단위와 수를 읽는 방법에 대해 수콤이와 달콤이가 맛있게 알려줄게요. ▼이어지 ... 보려면? Intro. 수콤달콤 연구소Part1. 일, 십, 백, 천, 만…세상에서 가장 큰 수는?Part2. 수콤달콤 주스가게Part3. 내 마음대로 ... ...
- 얼마면 되니~? 내 마음대로 은행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돈의 단위는 나라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돈의 단위가 큰 편이에요. 우리나라 돈 1만 원이 미국 돈으로는 약 9달러, 유럽연합에서는 약 7.4유로와 같죠. 하지만 돈의 액수가 크더라도 자릿값만 알면 정확하게 읽을 수 있어요. 여러분이 은행원이라고 생각하고 여러 가지 돈의 액 ... ...
- [핫이슈] 나와 닮은 학습메이트 엘리몬과 함께 초등 스마트 학습, 엘리하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떡볶이’라는 시를 읽으면 시의 내용이 생생하게 이해될 거야. 그렇다면 여기서 내가 문제를 낼게. “시 속 인물은 떡볶이의 맛이 어떠하다고 했니?”자, 다음은 수학 시간! 하로는 왜 ‘100’이 ‘90’보다 ‘10’만큼 큰지 궁금해하고 있어. 100이 얼만큼 큰 수인지 잘 모르겠대. 하로와 함께 10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