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귀"(으)로 총 1,5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형 콘택트렌즈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느끼게 된다. 안경테가 흘러내리거나 안경 때문에 코가 눌리거나 안경다리가 약한 귀부분의 피부를 자극하는 것 등은 예사다. 또 안경알에 자주 서리가 끼고, 끈적한 얼룩이 묻기도 한다. 그리고 특별히 멋을 낸 안경테가 아니면 대개의 경우 착용자의 용모에 마이너스영향을 미친다.하드렌즈의 ... ...
- 1. 책상위에서 모든작업 「완료」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끌었다.페이지 메이커의 뒤를 이어 퀵익스프레스(Quick Express) 벤추라(Ventura) 등 우리들 귀에도 낯설지않은 DTP 프로그램들이 연달아 나왔다.전산사식에서 DTP로DTP는 탁상출판시스템 또는 간이(簡易)출판시스템으로 불리는데, 여기에는 기존의 출판시스템에 비해 책상에서 모든 작업을 끝낼 수 있다는 ... ...
- 코골기과학동아 l1992년 07호
- UPPP라고 하는 수술은 입천장을 약간 잘라줘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는, 코고는 사람에게는 귀가 솔깃한 수술이다. 이 수술을 받은 사람은 편도선수술을 받은 사람과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수술은 전신마취 후에 실시되며 보통 1,2시간 정도 계속된다. 환자는 대개 1주일동안 목이 따끔거리며 아파오는 ... ...
- '건강 신발'로 불황탈출 묘책 내놓은 원인호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위기상황에 빠진 우리 신발산업계에 활력을 줄거라고 믿습니다." 6월초 대학로 귀통이 자신의 조그만 연구실에서 기자를 만난 원씨는 들뜬 목소리로 연신 건강신발을 들어가며 한국의 신발산업과 자기 발명품의 중요성을 힘주어 설명했다.그저 입심좋은 한 발명가려니 치부하기에는 원씨의 ...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컴퓨터는 인간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행복」까지도 선사할까? 그것은 인간이 활용하기 나름이다. 다른 문명의 이기와 마찬가지로 컴퓨 ... 어떻게 행복을 추출할 것인지는 우리의 과제다. 모든 문제는 항상 인간의 문제로 귀납된다. 인간이 없으면 악은 없다. 또한 선도 없다 ...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표면적이 7ha에 이르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안테나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민감한 '전자귀'다. 예컨대 1백억광년 떨어진 퀘이사가 낸 빛까지도 추적할 수 있다. 달에서 오는 빛이라면 촛불까지도 쪽집게처럼 집어낼 수 있다.우주의 생물체가 보내는 전파를 포착한다는 것은 참으로 흥분되는 일이다 ... ...
- (4) 홈 스튜디오가 현실로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조종 또는 믹싱(음혼합)에까지 쓰이고 있다.샘플링은 아날로그인 소리 데이터를, 인간의 귀를 속일 정도로 잘게 나누어 거의 원음에 가깝게 재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정용 CD는 이러한 방법으로 음악을 녹음하였다가 재생하는데 1초에 4만4천 이상의 수치로 아날로그 음원을 샘플링한다.이렇게 많은 ... ...
- 좋은 소음, 나쁜소음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소리가 난다. 여행자가 그 진동을 느끼기 전엔 모를 사실이지만 코끼리는 또한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것보다 낮은 주파수로 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렇게 낮은 주파수 소리가 진정 코끼리끼리 나누는 대화의 한 형태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상아 사냥꾼들에게 모든 코끼리가 살해 당하기 전에 ... ...
- 계절시차 적응 못해 봄되면 온몸이 나른 몸속시계가 수면을 조절한다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안에 있는 시교차상핵(視交叉上核)이라는 부분에 위치한다. 이 부분은 코의 시발점과 귀의 중간지점에 있는데 좌우 한쌍이다. 그렇다면 이 몸속시계의 메커니즘은 얼마나 알려져 있나.몸속시계의 작용메커니즘은 1971년 미국의 모아라는 의사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 그는 흰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 ...
-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중의 하나이며 특이한 용모(눈끝이 위로 올라가 있고, 귀는 작고 약간 아래쪽으로 붙어있고, 콧등이 낮고, 두 눈 사이의 거리가 멀며, 혀가 길어서 입이 열려 있고, 손가락과 발가락이 짧다)와 발육지연 등이 나타난다. 환자는 보통 수명이 짧은 편이며 70%가 2, 3세 안에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