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익룡, 태아 화석 발견으로 난생(卵生) 입증
과학동아
l
200407
익룡은 알을 낳았을까. 오랫동안 가설로 여겨졌던 익룡의 난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발견됐다. 중국 북동부 랴오닝성에서 1억2천1백만년전 것으로 추정되는 익룡 태아화석이 ... 스스로 먹이를 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6월 18
일자
에 실렸다 ... ...
동물도 눈치로 단어 배운다
과학동아
l
200407
‘리코’ (Rico)라는 이름의 영리한 개가 동일한 능력을 갖고 있다고 ‘사이언스’ 6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보더 콜리종인 리코는 생후 10개월부터 물건을 집어오는 훈련을 받았는데 뜻밖에 놀라운 단어암기력을 보여 10살인 현재 2백가지가 넘는 물건의 이름을 기억한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리코가 ... ...
다양한 포도 색깔은 이동유전자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06
빛깔이 바이러스성 ‘이동유전자’ 때문임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사이언스’ 5월 14
일자
에 발표됐다. 이동유전자는 세포의 DNA 속으로 들어가 융합된 바이러스성 DNA가닥으로 인간의 DNA에서도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포도껍질의 짙은 자흑(紫黑)색은 붉은 색소인 안토시아닌을 만드는 유전자 ... ...
고체 탄소공-50 탄생
과학동아
l
200406
중국 셔먼대와 베이징과 워한에 위치한 중국과학아카데미의 과학자들이 최초로 탄소원자 50개로 이뤄진 공 모양의 분자(탄소공-50)를 고체상태로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4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이로써 새로운 신소재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가 가능해졌다고 한다. ...
공기청향제 잘못 쓰면 공기 망친다
과학동아
l
200406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화합물질이 생성된다고 ‘환경과학기술’ 5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를 이끈 마크 메이슨 박사는 “오존 농도가 높은 날 창문을 열어놓은 상태라면 이런 반응이 촉발되기 쉽다”며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오존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타입의 공기청정기가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06
세종대왕과 음률에 통달한 박연 등이 기여한 바가 크다. 세종장헌대왕실록 15년 1월 1
일자
를 보자.왕은 새로 만든 편경 두틀을 가져 오라 하여 중국에서 준 편경과 맞춰보더니 크게 기뻐하면서 “중국의 성음이 과연 맞지 않았던 것이다. 지금 새로 만든 경은 바른 소리를 얻었다. 율을 제정하고 ... ...
야행성 철새는 해질녘에 나침반 보정
과학동아
l
200405
지빠귀류는 적도지방에서 겨울을 나고 여름이 되면 밤을 틈타 온대지방으로 이동해 그곳에서 새끼를 낳아 기른다. 이때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길을 잡는 것으로 ... 것을 보고 자신들이 따라가야 할 자기장의 방향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4월 16
일자
에 게재됐다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는 오른손잡이
과학동아
l
200405
2002년 먹이를 낚기 위해 갈고리 모양의 도구를 사용하는 까마귀 베티가 ‘사이언스’ 표지논문으로 소개된 바 있다. 최근 베티처럼 도구를 쓰는 남서태평양 누벨 칼레도니아 제도 ... 잡는 정도다. 이번 연구는 ‘영국 왕립학회보 B 바이올로지 레터스’ 온라인판 3월 25
일자
에 발표됐다 ... ...
뿔 긴 도마뱀이 명도 길다
과학동아
l
200405
살고있는 뿔도마뱀(horned lizard)은 뿔이 길수록 생존확률이 크다고 ‘사이언스’ 4월2
일자
에 발표했다.천적인 때까치는 도마뱀을 채어가 나뭇가지에 걸쳐놓고 뜯어먹는다. 케빈 영은 나뭇가지에 남겨져 있는 뿔도마뱀의 두개골 29개와 살아있는 1백55마리의 뿔 길이를 쟀다. 그 결과 살아있는 ... ...
남의 떡이 커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405
안토니아 해밀튼 박사는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해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22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진은 실험대상자에게 1백50kg과 7백50kg의 상자를 들게 하면서 다른 사람이 든 상자의 무게를 가늠하게 했다. 실험 결과 가벼운 상자를 들 때는 다른 사람이 들고 있는 상자를 실제 무게보다 무거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