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5. 디지털 전도사 네그로폰테와 미디어 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정보의 최소 구성단위인 비트로 교체된다. 네그로폰테는 이런 변화가 얼마나 극적인
결과
를 가져오는가를 다양한 예를 들며 우리에게 보여준다.비트는 '0'과 '1'로 구성돼 컴퓨터 디지털 언어를 만든다. 네그로폰테가 주장한대로 컴퓨터 사용은 더 이상 컴퓨터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거대한 방이 ... ...
서양인이 본 동양의 생약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과학자들은 최근에야 식물약제와 기존의 합성약품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심각한
결과
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떤 인도의 전통처방은 천식환자들이 복용하는 호흡기약(테오필린)의 독성과 항경련제(페니토인)의 독성을 증가시키는 성분(피페린 알칼로이드)을 함유하고 있다.소비자들이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런 환경에 경쟁력이 있는 식물들이 이듬해 봄 하나 둘씩 종자를 발아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무덤이 조성되기 전에 존재하던 식물사회와 전혀 다른 모습이 나타난다.무덤에 형성되는 식물사회의 구성원은 여러 가지 생존 전략을 갖춘다. 먼저 햇빛과 따뜻한 곳을 좋아하고 건조함을 견뎌야 한다.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사실이 최근 미국 코넬 대학의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DNA 분석법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잎꾼개미들과 버섯의 관계는 거의 2천5백만년 전부터 이어졌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마치 인간이 요구르트를 대대로 물려받아 배양하는 것과 흡사하다.초창기의 잎꾼개미는 집 주변에 자라는 버섯을 이것 저것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CRL2688은 가스가 성운 중심에서 0.6광년 밖까지 팽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측
결과
로부터 그 전단계 별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무엇보다 시선을 끄는 것은 탐조등 불빛과 같은 빛줄기다. 이것은 별빛이 고리 모양의 먼지구름을 통과하면서 새나오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빔이 두 줄기로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받고 있다.따라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계면활성제의 등장을 요구하게 됐으며, 그
결과
로서 생체 계면활성제(bio surfactant)가 연구됐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과학자들이 생체계면활성제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생체 계면활성제는 주로 탄소화합물을 사용해 미생물과 발효시키거나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따라 발가락의 형태가 다른 이유는 사는 곳의 조건에 따라 유전형질이 조금씩 변한
결과
라고 생각된다.그런 연유인지는 몰라도 발가락의 길이에 따라 발을 분류할 때는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에 비해 유난히 긴발을 '이집트인 발' 이라고 하고, 엄지와 둘째의 길이가 비슷하면 '사각형 발', 그리고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걸쳐 참가학교를 모아 환경 동물보호 등 지역사회의 현안을 공동연구하고, 그 과정과
결과
를 웹에 올려놓는 것이다.'음식과 시장' 코너에는 타이의 오타코 야시장, 일본의 츄키지 어시장 등 각나라의 대표적 풍물들이 소개되고 '미미의 사이버식당' 에는 전세계 모든 음식과 양념에 관한 자료가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상업적 가치가 없을 것이라고 여기고 전화 특허에 미련을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러나
결과
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인간의 발명품 중 전화만큼 대중으로부터 열광적인 호응을 받은 것이 드물지 않은가.1876년 3월 10일 벨은 조수에게 전화로 "왓슨 군. 이리와서 나 좀 보게"라고 말했다. 이 최초의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오스트레일리아의 생물학자인 G. C. B. 푸어박사와 G. D. F. 윌슨박사는 태평양에서 연구한
결과
전체 종수는 1천만을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처'(Nature)지 1993년 2월 18일자에 그들은 "이보다 많을 수 있다"는 주장을 폈다.램쉬드박사와 같은 전문가는 또 깊은 바다 진흙에서 많이 살고 있는 더 작은 ... ...
이전
1349
1350
1351
1352
1353
1354
1355
1356
1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