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스페셜
"
인류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연구하는데 적절한 방식입니다. 지금껏 생명과학에서 많은 성과가 나왔지만 아직도
인류
가 모르는 분야가 훨씬 많아요. 개인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텀업 연구가 생명과학에서 활성화돼야 하는 이유입니다.” 유명희 단장의 ‘이것만은 꼭!’ ○ 연구자의 창의성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와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연구소에 탐 알두스라는 입자물리학자가 들어온다. 탐은
인류
의 에너지 위기를 해결할 유일한 방안을 양자역학을 도입한 인공광합성 연구라고 비어드를 끈질기게 설득한다. 비어드는 수 주간 출장을 갔다가 항공편을 당겨 오전에 도착해 현관문을 열었는데 뜻밖에 자기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결과 현생
인류
와 고
인류
의 특징이 섞여있었다는 것. 이는 오늘날 음보족 일부가 현생
인류
의 것이 아닌 Y염색체를 갖고 있다는 결론에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다. 연구자들은 앞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계 사람들의 더 분석해보면 이들의 계보에 대한 좀 더 명확한 그림이 그려질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합성하는 바이러스 효소는 AZT에 속아 넘어간 것. 실패한 항암제에서 20세기 흑사병에서
인류
를 구한 항바이러스제로 AZT의 운명이 극적으로 바뀌면서 호르비츠 박사도 무명의 화학자에서 ‘이주의 인물’이 될 정도로 유명인사가 됐다. 그렇지만 호르비츠는 AZT에 대한 권리를 전혀 갖지 못했고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보인 사례다. 미국 미시건대
인류
학과 마사코 푸지타 교수팀은 2012년 9월 ‘미국 자연
인류
학저널’에 실린 논문에서 아프리카 케냐의 농업목축을 하는 아리알(Ariaal) 부족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경제적 지위와 자녀 성별에 따른 모유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트리버스-윌라드 가설이 성립한다고 밝혔다.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뼛조각 일부(0.4그램)를 갈아 추출한 DNA에서 염기서열을 해독했는데 그 결과 현생
인류
와 99.84%가 동일했다(서로 상응하는 위치만 비교했을 때)는 결과를 얻었다. 수만 년이 지났어도 정보를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DNA의 저장매체로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게다가 DNA정보는 시스템이 안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같은 호흡기 질환을 1년에 한 두 번씩은 겪는다. 다른 전염병들은 이미 백신으로 퇴치한
인류
가 유독 이 바이러스 질환 예방에는 손을 못 쓰고 있다. 언제까지 무대책으로 감기에 걸리거나 기껏해야 번지기 시작하며 그 때부터 부랴부랴 확률에 기초한 독감 백신을 만들어 때워나가야 할까. 최근 중증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공급의 25%를 차지하던 석탄이 이제는 30%에 육박하고 있다. ●기술보다는 정책 현재
인류
는 2020년 출범을 목표로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체제를 준비하는 모임을 갖고 있는데 각국의 이해가 엇갈려 제대로 진행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아무튼 헬름 교수는 새로운 체제에서는 크게 세 가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85년 남극 오존층에 구멍이 뚫렸다는 관측이 발표되자 CFC 가설이 급부상했고 위기를 느낀
인류
는 1987년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의 사용을 규제하는 국제환경협약인 몬트리올 의정서를 마련한다. 1995년 롤런드와 몰리나는 폴 크루첸과 함께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롤런드는 애처가로도 유명한데 1986년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사실이 아닙니다. 네다섯 시간이라면 몰라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세계적인 고
인류
학자인 필립 토비아스(Phillip Tobias)는 1300편이 넘는 책과 논문을 발표한 경이로운 인물이다. 평생 결혼도 하지 않고 오로지 연구에만 몰두한 결과다. 남아공 더반에서 태어난 토비아스는 1942년 요하네스버그에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