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628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1억도 유지 가로막는 플라스마 붕괴조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처음 확인됐다. 분홍색 점선이 자기섬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형 인공
태양
’으로 불리는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를 이용해 핵융합 플라스마의 오랜 난제가 처음 풀렸다. 이를 이용하면 KSTAR에서 1억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20초 이상 발생시키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NASA, 188억㎞ 밖 보이저2호와 11개월 만에 교신 재개
연합뉴스
l
2021.02.24
전송 가능 [NASA/Canberra Deep Space Communication Complex 제공] 지구에서 188억㎞ 떨어진
태양
계 밖을 비행 중인 우주 탐사선 '보이저2호'와의 교신이 11개월만에 재개됐다. 뉴욕타임스(NYT)는 23일(현지시간) 보이저2호와 지구 관제소의 연락을 담당했던 호주 캔버라 기지국의 70m짜리 대형 전파 안테나의 ... ...
[과학게시판] 천문硏, 제29회 천체사진공모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매년 개최되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심(深)우주·
태양
계·지구와 우주 등 3개 분야에 지원할 수 있다. 수상자들에게는 총 1000만 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된다. 공모전 지원 작품은 간행물에 발표되거나 다른 공모전에 당선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접수는 4월 8일까지 ... ...
인공지능이 화학공정 생산성 높일 최적 조건 찾는다
연합뉴스
l
2021.02.22
뒤표지로 선정됐다. 한편 화학연은 열로 전기를 만드는 열전소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소재 등 화학소재 개발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AI모델을 개발 중이다. ... ...
지구 자극 역전이 초래한 기후변화가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연합뉴스
l
2021.02.22
증가 등과 같은 진화상의 미스터리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제시했다. 연구팀은
태양
풍에 실려온 하전입자가 지구 대기에 부닥쳐 극지에서만 생성되는 오로라가 자기장이 사라지면서 지구 곳곳에 나타나 선사 인류에게는 "지구 종말의 날처럼 보였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또 자외선 수치가 ... ...
美 화성 로버 ‘퍼시비어런스’ 5시 55분 화성 착륙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무게가 약 1026kg인 탐사 로봇이다. 선명한 영상을 담을 수 있는 카메라 23대와
태양
열로 움직이는 무게 약 1.8kg의 드론인 ‘인제뉴이티’도 실려 있다. 인제뉴이티는 대기가 희박한 화성에서 비행 실험을 하기 위해 제작됐다. 예정대로라면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의 1년에 해당하는 687일 동안 ... ...
호킹 박사 내기에서 지게 만든 블랙홀, 더 무겁고 더 멀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별이 블랙홀이 되는 과정에서 별 표면에서 질량이 방출하는 항성풍으로 인해
태양
질량의 5~15배 정도로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해 왔다.연구를 주도한 제임스 밀러 존스 호주 커틴대 교수는 “무거운 별이 블랙홀이 되기까지의 별 형성과 성장 과정을 새롭게 밝히는 증거”라며 “블랙홀을 연구하는 ... ...
美 퍼시비어런스, 19일 오전 5시48분 화성 착륙 시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짜여진 계획에 따라 움직인다. 먼저 퍼시비어런스는 화성 착륙 10분 전 비행에 사용한
태양
전지판과 연료 탱크가 들어있는 ‘크루즈 스테이지’를 분리한다. 이후 초당 5.5km의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하면 대기 마찰로 인해 속도가 서서히 줄어든다. 대기권 진입 후 80초가 지나면 방열판 온도는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적외선과 자외선을 흡수하는 분자 구조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태양
전지는
태양
광을 실생활에 쓸 수 있는 전력으로 전환하는 장치로, 전력은 전류와 전압의 곱이다. 모든 파장의 빛을 흡수하면 전류는 커지지만 전압은 작아지기 때문에 전력을 최대로 하는 파장만 선택적으로 흡수해야 ... ...
[이덕환의 과학세상]목표 상실한 해상풍력 5대 강국의 꿈
2021.02.17
전력 수급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는 뜻이다. 도대체 우리에게 ‘세계 최대의
태양
광 단지’와 ‘해상풍력 5대 강국’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정부의 분명한 해명이 필요하다. 세계 ‘최초’와 ‘최대’는 이제는 청산해야만 하는 권위주의 시대의 낡은 유물이다. 국회가 정해놓은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