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집
수집
spawning
수확
추수
포획
뉴스
"
채취
"(으)로 총 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
과학동아
l
2016.09.15
CNAS, CLEP 제공 2013년, 역사상 세 번째로 달에 착륙한 중국의 달 탐사로봇 ‘옥토끼(위투)’가 972일 세계 최장 탐사 기록을 세우고 활동을 마쳤다. ... 달에 그대로 남게 된다. 중국 정부는 2017년 달에 새로운 탐사선을 보내 암석 샘플을
채취
해 지구로 돌아오는 등 탐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변화를 읽은 필자는 순간 ‘아닌가보다’라는 느낌이 왔다. “글쎄요. 일단 시료를
채취
해 현미경으로 봅시다…” 교수의 지시에 따라 대학원생이 챙겨온 정과 망치로 암석 조각을 떼어냈다. 이 과정에서 당황했는지(지도교수와 서울에서 온 공룡전문가에 기자까지 지켜보고 있으니) 그만 실수로 ... ...
NASA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발사 성공
2016.09.11
그 이후 2014년에는 같은 소행성으로 ‘하야부사 2’를 발사했으며, 이토카와의 암석을
채취
해 2020년 지구로 돌아올 예정이다. 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의 상상도. 오시리스-렉스는 로봇 팔을 이용해 소행성 표면의 토양 샘플을 채집해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 NASA ... ...
[강릉 향호] 엄마의 마음을 닮은 향호를 다시 걷다
2016.09.01
7곳 중 하나로 선정된다. 2000년대 후반에 본격적인 생태복원사업이 진행되었다. 규사
채취
로 훼손된 생태를 복원하고 호수 상류 농경지를 습지로 조성하기로 한다. 유입 수량이 부족하고, 하구 막힘 현상이 일어나 수질 오염이 심각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호수 하구에 갯터짐 유발 도류제를 ... ...
초록보약 부추! 시원한 바람 부는 오늘, ‘부추전’ 어때?
2016.08.26
일컬을 만큼 부추의 영양학적 효과는 뛰어납니다. 부추는 한 해에 열 번까지도
채취
가 가능하지만 3월에서 9월 사이에 나오는 것이 가장 부드럽고 약성이 뛰어나다고 하네요. 좋은 부추는 모래밭에서 키운 재래종 부추로 색이 선명하고 잎이 싱싱하며 잎의 폭이 두껍고 넓은 것이 좋습니다. 길이는 ... ...
소행성에서 값진 자원캔다… 우주광산 사업 ‘스타트’
2016.08.26
탐사 우주선인 셈이다. 무게가 50kg 정도인 소형 탐사선으로 태양전지와 함께 소행성에서
채취
한 물을 가열해 추진력을 얻는 시스템을 장착해 에너지 효율이 높다. 프로스펙터-1은 소행성에 도착하면 먼저 영상과 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해 소행성 표면은 물론이고 지하까지 광물 자원의 분포를 ... ...
한반도는 대지진 안전지대일까… 땅속 ‘지진의 기억’을 찾아라
2016.08.19
다시 잡아 뽑자 파이프 안에 흙이 빼곡히 들어찼다. 연구실에 돌아가 실험할 시료를
채취
한 것이다. 이 시료를 암실에서 분석하면 시료가 마지막에 빛에 노출된 시점이 언제인지 파악할 수 있다. 최 연구원은 “시료를 루미네선스 연대측정(OSL)이란 방법으로 조사하면 지진 활동 여부를 알 수 ... ...
[양양 쌍호, 가평리 습지]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호수로의 여행
2016.08.11
제공 그때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난다. 호수를 메우기 위해 호숫가 모래언덕에서 토사를
채취
하던 중에 다량의 토기와 석기가 발견된다. 오산리 유적은 그렇게 세상의 빛을 보게 된다. 호수 매립은 중단된다. 호수를 사라지게 할 뻔한 것이 호수를 살린 셈이다.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를 비롯해 ... ...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
과학동아
l
2016.07.30
간상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을 내는 유전자변형 생쥐를 만들고, 발생 시기별로 간상세포를
채취
해 유전자 전사체(mR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성체 간상세포에서 원추세포의 특성을 보이는 유전자의 흔적을 발견했다. 이는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각각 다른 망막 기원 세포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 ...
사람 줄기세포로 ‘기능성 인공 중뇌’ 만들었다
2016.07.29
손실되면 신경퇴행성질환인 파킨슨병에 걸릴 수 있다. 연구진은 사람의 혈액에서
채취
한 줄기세포를 ‘오가노이드(organoid)’ 형태의 중뇌로 만들었다. 오가노이드는 실험실에서 배양한 소규모 장기를 뜻하는 말로 3차원 구조로 만들어 실험실에서도 몸 안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앞서 4월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