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속
연쇄
일련
속발
퍼짐
릴레이
릴렐
뉴스
"
연속
"(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승준 생명연 부원장, OECD 바이오나노융합기술작업반 부의장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2015년 1차 총회에서 최용경 책임연구원이 초대 부의장으로 선출된 후 이번 회차까지 10회
연속
으로 부의장을 배출했다. 1~8차는 최 책임연구원이, 지난회차와 이번 회차는 김 부원장이 부의장을 맡았다. 생명연 측은 “장관회의를 비롯한 과학기술정책 분야 주요 논의하 한국이 적극 참여할 발판을 ... ...
日 수입의존도 높은 '전도성 금속잉크' 국산화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가격을 낮추고 전기 전도성을 높였다”며 “구리와 그래핀 복합입자를 대량으로
연속
공정할 수 있으며 6개월 동안 구리의 산화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대성금속에 착수기술료 5억5000만원, 경상기술료 1.5% 조건으로 기술이전했다. 대성금속은 이미 달에 1톤(t)의 ... ...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은 사람 콜레스테 섭취 제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있으면 콜레스테롤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연속
적으로 높아졌다. 반면 이상지질혈증이 없으면 콜레스테롤 섭취가 늘어도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수치에 큰 변화가 없었다. 또 이상지질혈증이 있더라도 불포화지방을 섭취하면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 ...
버려지던 목재폐기물, 태양빛만으로 '돈 되는' 화합물로 둔갑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촉매가 필요해 효소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3가지 촉매를
연속
적으로 활용해 이 과정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광촉매를 만든 뒤, 전기촉매를 이용해 이렇게 생산된 전기로 과산화수소를 합성했다. 마지막으로 이 과산화수소를 ... ...
원유 정제 부산물 황 폐기물로 고부가가치 그래핀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0
환원제 없이 그래핀을 제조할 수 있다. 그래핀을 제조하고 남은 황은 재사용이 가능하고
연속
공정을 통해 회수도 가능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그래핀은 수용액 내에서 수은 이온을 94% 이상 흡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복합소재로 만들면 기존 소재보다 150% 이상 강도가 높고 가스 차단성도 95% ... ...
"식물 생존 책임지는 '수송체' 연구에서 환경과 식량 해결 실마리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보이지 않는 치열한 생존 투쟁을 한눈팔지 않고 30년간 연구해 온 그의 삶도 투쟁의
연속
이었을 것 같았다. 이 교수는 최근 삼성생명공익재단이 사회 공익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 여성과 가족에게 수여하는 삼성행복대상 여성창조상을 수상했다. 재단 측은 “이 교수는 ‘ABC 수송체’라는 ... ...
[과학게시판] KMAPS, 굿콘텐츠서비스인증 획득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굿콘텐츠서비스인증을 획득했다. 지난 2017년에 이어 두 번째
연속
이다. 굿콘텐츠서비스인증은 대중이 신뢰를 갖고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콘텐츠 서비스를 발굴해 품질 인증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다. KMAPS는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공공데이터와 KISTI에서 수년간 연구 구축한 ... ...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신축성 전자시스템 권위자 홍용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동작하는 전자 시스템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홍 교수는 2017~2019년 3년
연속
디스플레이 분야 세계 최대 학술대회∙전시회인 ‘디스플레이 위크'에 관련 연구성과를 토대로 제작한 시제품을 전시했다. 일반인이 직접 신축성 웨어러블 기기를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홍 ... ...
"과학자는 작은 발견의 기쁨 중시해야" 노벨상 수상자 케일린 교수 방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강조했다. 울산=윤신영 기자 “과학자는 긍정적이어야 합니다. 인생이 실패와 좌절의
연속
이니까요. 그러니 모든 순간을 큰 성공을 위해 투자하지 말고 작은 발견을 통해 ‘소확행(small joy)’을 얻어야 합니다. 이런 기쁨이 10년, 20년 쌓여 큰 발견이 옵니다.” 인류의 가장 큰 적 중 하나인 암을 ... ...
전기소자 내 전자 진동 1조분의 1초 단위로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KAIST 물리학과 교수. KAIST 제공. 움직이는 물체를 관찰하려면 카메라를 이용해
연속
촬영해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물체가 셔터 자동 속도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면 포착할 수 없다. 나노 규모의 전기소자도 마찬가지다. 10기가헤르츠(GHz)보다 더 빠르게 진동하는 전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