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뉴스
"
만
"(으)로 총 20,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이번 2차원 스커미온 제어 성공은 상온 큐비트 제작에 활용될 수 있어 초저온 환경에서
만
구동하던 기존 양자컴퓨터의 한계를 넘은 '상온 양자컴퓨터' 개발의 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양승모 KRISS 양자자기센싱그룹 선임연구원은 "최근 인공지능(AI)의 발전과 함께 전력 수요가 폭증하며 초저전력 ... ...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 꼭대기에도 '서리'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고원의 높은 화산 위로 흐르는 독특한 대기 순환 패턴이 서리가 생길 수 있는 조건을
만
드는 것으로 추정했다. 서리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모델링하면 화성의 물이 어디에 존재하고 어떻게 이동하는지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화성의 복잡한 대기 역학을 이해하는 것이 향후 ... ...
정부 "18일 집단 휴진시 의사면허 정지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참여자 63.3% 중 73.5%가 단체 행동 동참 의사를 밝혔다. 2020년에는 개원의 참여율이 10% 미
만
이었으며 이번에는 참여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18일에는 진료 혼선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서울대병원 본원과 분원이 17일부터 ‘전면 셧다운’을 결의한 상황에서 개원의들도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전달되지 않았다. 레이저 기술을 활용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250°C 이하에서 FeFET를
만
들고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10
만
번 이상 데이터 쓰기·지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정보 저장 상태도 10년 이상 유지 가능했다. 장재은 교수는 "열에너지를 최소화한 레이저 어닐링 기술은 강유전체 전계 효과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높이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한 번
만
전압을 인가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장식 교수는 "기존 메모리 소자의 한계를 돌파할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메모리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 ...
라그랑주점이 뭐길래...문 연 우주청, 탐사목표 제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만
족한다. L4 탐사는 앞서 한국천문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탐사 기획연구가 추진됐지
만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이 삭감되면서 좌초됐다. 천문연 관계자는 "당시 기획에는 L4에 탐사선을 보내 지구와 같은 동기로 태양을 공전하면서 태양을 관측하는 내용이 담겼다"며 "우주 격전지로 불리는 ... ...
슈퍼박테리아 정복에 AI가 도움줄까...항생제 후보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등 다양한 곳에 서식하는 미생물에서 얻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자연과 AI 기술이
만
나면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새로운 항생제 발견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기대했다 ... ...
가장 작은 유인원 화석 독일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오랑우탄과 긴팔원숭이가 공존할 수 있는 이유와 비슷하다. 연구팀은 "부로니우스
만
프레드슈미디가 왜 작아졌는지 이유는 더 분석해봐야 안다"면서 "지금으로선 크기를 작게 유지하며 다른 커다란 동물과 다른 생태적 지위를 유지하며 생존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버진갤럭틱, 7번째 우주 관광 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지난 10여년간 약 800여명에게 티켓을 예약 판매했으며 티켓 가격은 약 45
만
달러(약 6억2000
만
원)로 알려졌다. 갤럭틱 07에 참여한 우주비행사들.버진 갤럭틱 제공 ... ...
명망 있는 과학상 수상자들이 상 명칭 변경 요청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새클러를 삭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새클러 가문 후원금으로 생물물리학상을
만
든 텔아비브대는 명칭 변경에 대한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텔아비브대 생물물리학상 수상자 3명은 상 명칭 변경을 지지하는 의사를 밝혔다. 미르니 교수는 6일(현지시간) 사이언스지를 통해 수상자라는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