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학교"(으)로 총 2,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콤살벌한 식충식물...누군가에겐 편안한 휴식처?!어린이과학동아 l2018.07.20
- ‘네펜테스 헴슬레야나(N. hemsleyana)’는 박쥐와 공생해요. 브루나이 다루살람대학교 울마 그라페 교수와 연구진은 ‘하드윅양털박쥐’가 헴슬레야나 통풀 안에서 낮잠을 잔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하드윅양털박쥐가 공생하는 통풀로 날아오는 모습(왼쪽), 박쥐가 쉬고 있는 통풀의 단면도 ...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무리한 문이과 통합에 길 잃은 백년대계2018.07.19
- ※ 편집자 주. 정부는 현재 중3 학생이 치를 2022년 수능에서 수학과 과학 과목 비중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수학 시험은 문이과를 통합해 치르고, 과학은 사회와 합쳐 2과목만 골라 응시하는 방식입니다. 과학기술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쉬운 공부에 매달리다 정작 미래를 ... ...
- “출연연 비정규직 인력 전환, 일반 공기업처럼 대해선 안 된다”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선택지란 게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노환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무처장은 “기술을 확보해 경제 발전에 치우쳤던 그동안의 과학정책이 사람 중심으로 바꿔야 되는 이유”라며 “‘비정규직이냐 정규직이냐’가 아닌 어떤 인재를 출연연이 끌고 가야할지 정체성부터 ... ...
- [2018년 필즈상] 최적의 운송이론 풀고, 인성까지 모두 갖춘 수학자 알레시오 피갈리수학동아 l2018.07.18
- | 1984년(만 33세) 연구 분야 | 편미분방정식, 최적 운송 이론 소속 | 스위스 취리히 국립공과대학교 수상 | 유럽수학상(2012), 스탐파키아 메달(2015), 펠트리넬리 수학상(2017) 어딜 가나 칭찬일색인 피갈리 교수의 연구 분야는 ‘최적 운송 이론’입니다. 친구에게 택배로 선물을 보낼 때 알아보는 것 중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당신의 마음은 독재자인가요? 2018.07.15
- 전쟁뿐입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 과정에 대한 논문을 쓰고 있다. , 를 옮겼고, , 등을 썼다 ... ...
- 게임 '서든어택' 개발 뒷얘기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07.14
- 합쳐져 결국 레벨디자이너가 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Q. 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 대학교를 졸업한 뒤 3차원 사물을 그리는 디자이너로 일하다가, 지금은 레벨디자인에 특화해 일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FPS 분야에서는 레벨디자인이 무척 중요하다. 유저가 어느 공간에 어떻게 서 ... ...
- 해수욕장에서 발견한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 ②어린이과학동아 l2018.07.13
- 인터뷰 “로봇이 구애춤의 비밀을 밝혀 줄 거예요.” _다니엘라 페레즈(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생태학 전공 박사 후 연구원) 다니엘라 페레즈 연구원 Q. 로봇을 이용한 연구는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저는 10년간 농게의 구애춤을 연구했어요. 암컷은 어떤 구애춤을 좋아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 ...
- [별별 필즈상 이야기]낙제와 낙방을 극복한 인간승리의 주인공은?동아사이언스 l2018.07.13
- 대학 입학시험 1주일 전까지 밭에서 거름통을 메고 일손을 도와야 했던 헤이스케는 대학교 입시에서도 재수를 하고 교토대에 입학한다. 히로나카 케이스케 - 수학동아 2014년 8호 제공 그러던 헤이스케에게 기회가 찾아온 것은 교토대를 방문한 하버드대 수학과 오스카 자리스키 교수를 만나면서 ... ...
- [별별 필즈상 이야기] 최연소 기록을 세운 천재 중의 천재는?동아사이언스 l2018.07.12
- 그리고 20살의 나이에 박사학위를 받은 뒤, 22살에는 미국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로 대학교 정교수가 되는 기록을 세웠다. *별별 필즈상 연재보기 ①최연소 기록을 세운 천재 중의 천재는? ②낙제와 낙방을 극복한 인간승리의 주인공은? ③필즈상? 저는 안 받을래요? ④필즈상 받고 싶은데 갈 ... ...
- [이강운의 곤충記] 직접 알을 품는 물장군의 부성애2018.07.11
- 현재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 복합 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 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Ⅰ’(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6년 캐터필러 Ι,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