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땅"(으)로 총 2,0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올림픽공원에서 만난 청솔모기사 l20200215
- 굉장히 활발하고 나무에 올라가는데는 몇 초 밖에 안 걸린 답니다. 나무 위에서 서 있고 뛰어다닙니다. 공원에서 만났을 때에는 땅으로 내려왔고 사람도 무서워하지 않고 도망가지도 않았습니다. 중간에 서 있어서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가까이 가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최지윤 기자였습니다 ... ...
- 미국의 황당하고 엉뚱한 법 1탄기사 l20200213
- 알리바마 주의 모든 땅콜 가게들은 모두 심야영업 (밤늦게영업)을 한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땅콩이 사고 싶은 사람들은 밤에만 땅콩을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켄터키 이번 것은 정말 황당합니다. 켄터키에서는 목욕을 일년에 한 번만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미시건 미시건 주에서는 일요일에 자동차를 팔거나, ...
- 네이버뽑기::상메에 적히고싶으신분들(◕ᴗ◕✿) 드뎌 뽑아땅!ㅎㅎ포스팅 l20200208
- 안냥하세욘!2020.02.06에 했던 이벤트 결과를 가지도 돌아온 정서아 기쟈입니당 ㅋㅎㅋㅎ신청을 강예리,이소율,권순미,장라윤,황단비가 해줬는뎅요5명이나 신청을 해주셔서 네이버 뽑기로 공평공평하게,,!!진행했슙니당!결과를 함께 보시죠!!두구두구두구과여언..??공개!짜란,,예리언니!축하해애!❣안뽑히신 이소율,권순미,장라윤,황단비..아쉽지만...다음에 또 기회 ...
- 세상에서 가장 크고 빠른 새, 군함조!기사 l20200131
- 활동을 멈추고 쉬지요. 뇌가 돌아가면서 절반은 쉬는 방법이라니, 특이하고 신기하죠? 이렇게 하는 휴식은 하루 40분 정도 되는데, 땅에 돌아오면 13시간 정도를 죽은듯이 잔다고 합니다. 출처: 책 군함조에 대해 알아봐요! 군함조는 끝이 약간 구부러진 길고 가는 부리와 제비 꽁지처럼 양쪽으로 갈라진 꼬리를 가졌습니다. 목이 하얀 암컷과 ...
- [63 아쿠아플라넷]을 다녀와서기사 l20200120
-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땅에 사는 동식물 만큼 물속에 사는 동물들도 굉장히 다양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물과 땅이 떨어진 것이 아니라 해파리의 번식처럼 어딘지 모르게 비슷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
- '5초 법칙', 과연 사실일까?기사 l20200109
- 블로그 이 5초 법칙은 2014년에 영국에서 밝혀졌다는데요(역사가 짧은(?) 법칙입니다), 영국에서 진행된 실험 중 87%가 땅에 떨어진 음식을 주워먹을 의사가 있다고 했고, 이들 중 무려 81%나(히익) 5초 법칙을 따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5초 법칙은 유행처럼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퍼졌습니다. 하지만 ...
- 오늘의 뉴스3!!!!포스팅 l20200105
- 앵커:오늘의 뉴스를 알려드리겠습니다.오늘은 땅이 없습니다!!!!!!!!!!!!!!관람객:뭔 소리야!!!!!!!!!!!!!!!!!!!!!!!! ...
- 역사 스토리1-1편(고조선 건국)포스팅 l20191231
- 이끌고 인간 세상으로 내려와서 다스리기 시작하였어요. 단군이야기의 처음 부분은 약간 생소할수있어요.그래도 대부분은 알거에요. 땅으로 내려온 환웅은 사람들을 잘 이끌다 어느날,곰과 호랑이를 만나는데,그 곰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고싶다고 말했어요.그러자 환웅은 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주며 100일동안 빛을 보지않고 쑥과 마늘을 먹으면 사람으로 ...
- 뮤지엄 김치간 어린이 김치학교 견학기사 l20191231
- 해뒀다고 해요. 그런데 왜 김치를 장독대에 담아서 땅 속에 묻었을까요? 겨울은 추운 계절이니 김치가 얼까봐 비교적 온도가 높은 땅 속에서 보관하는 거예요. 뮤지엄 김치간에서 새로 배운 것도 많았고 재밌는 활동도 많이 했어요. 무엇보다 가족과 제가 만든 김치를 함께 먹어서 즐거웠어요. 매 월 첫번째 주 화요일 오후 2시에 다음 달 ...
- 겨울 산새 탐사와 아침고요수목원의 불빛 축제 ~!!기사 l20191228
- 잘 그렸는데 이틀이나 걸렸다고 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드디어 기다리고 있던 솔방울 모이를 만들었습니다. 순서는 솔방울에 땅콩버터를 바릅니다. 그다음은 해바라기 씨앗,조 등등을 겉에 덧 입히는 것입니다. 이제 솔방울에 줄을 묶어 나무에 달면 끝입니다. 솔방울을 묶는 끈도 환경을 생각하셨는지 노끈이 아니라 마끈이였습니다. 동영상이 지원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