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d라이브러리
"
학위
"(으)로 총 1,41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공학은 현대문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자체의 연구소들을 만들어 이러한 연구자들을 배치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 경우 석사
학위
정도의 학력이 요구된다.네째로 대학교수와 같은 순수한 학문적 연구에 전념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공학자체가 순수과학과 다르므로 대학교수도 응용적 연구를 할 수 있으나, 역시 제반여건은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특강은 교수와 학생의 연구에 큰 자극제가 되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박사
학위
란 본격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자질을 인정받는 것, 그러니까 공부의 끝이 아니라 시작을 뜻하는 것이다. 연구생활은 평생토록 계속해야 하는 것인데, 그 정열은 학문 그 자체에 대한 애착없이는 지탱하지 못한다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대학에서는 히야시교실에서 5년간 있으면서 연구 방법을 배웠다. 1970년 박사
학위
를 받은 도네가와는 달베코박사(1975년 노벨의학생리학상수상)의 쇼크연구소에 들어가 암 바이러스연구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달베코는 바이러스학자이지만 쇼크연구소에 오기 전에는 캘리포니어공대에 있었다.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미국 템플대 대학원을 거쳐 로체스터대학에서 입자 물리학에 관한 논문으로 75년 박사
학위
를 받았다. ―화학공학에서 물리학으로 전공을 바꾼 특별한 이유라도 있읍니까. "물리학 특히 소립자에 고등학교때 부터 관심이 많았지요. 화공과에 다닐 때도 물리학과 과목을 열심히 청강했읍니다. 유명한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일본은 우리와 전혀 달라요. 하버드나 MIT에서 박사
학위
를 받아와도 일본 국내대학의
학위
가 없으면 대학에 발붙이기가 어려워요. 지금은 조금 완화됐다고 하지만 그 정도로 폐쇄적이에요. 어쨌든 이런 풍토가 오늘날의 결과를 가져온 저력이 된 것입니다. 김영걸 저희 포항공대에서 교수들을 ... ...
KCRC 올해의 인물상 체신부 오명장관 선정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한국컴퓨터기자클럽(KCRC)이 제정한 87년 '올해의 인물상'에 체신부 오명 장관이 선정되었다.매년 정보산업분야에서 공로가 뛰어난 인물을 선정하는 KCRC ... 출생한 오장관은 경기고와 육사(18기), 서울공대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 주립대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
를 받은 전형적인 테크노크라트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의 테마는 '소립자붕괴에 있어서의 벡터 중간자'였다. 그는 이 박사
학위
논문의 서문에서 "시인의 마음에는 두가지 있다. 하나는 우화를 만들어 내는 마음이며 다른 하나는 그것을 믿으려고 하는 마음이다"는 갈릴레오 갈리레이의 말을 인용했다. 그 이유는 이 테마가 매우 ... ...
대륙붕 천연가스층 발견의 숨은 주역 강주명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크게 부족하다는 것. 서울공대 자원공학과를 나와 미국에서 석유개발공학을 전공, 박사
학위
를 딴 강교수를 포함해 극소수의 전문가가 있을 뿐이며 석유개발에 관한 강의가 개설된 것도 86년 서울대에서부터였다는 것이다. 강교수는 이번의 가스발견이 한때의 흥분으로 끝날 게 아니라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줄 모르는 시기, 기상천외한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는 유일한 시기인 20대 중반에 박사
학위
를 취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준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과학기술대에서 한학기에 20학점 이상을 이수하기는 쉽지 않다. 리포트 양도 많고 설렁설렁 학점 따는 것을 교수들이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인력을 배출하고있는데도 이들 연구소들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것은 졸업자들이
학위
에 걸맞는 능력을 배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대학이 국제경쟁력에 도움이 될 생산품을 만들지는 못하는 실정이고 여기에다 예산은 빠듯하다. 따라서 정부의 연구지원에서 소외될 수 밖에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