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발표했어요. 폐비닐을 열분해하여 오일을 만드는 기존 기술은 긴 냉각 시간이 필요해서 반응기계를 하루에 한 번만 쓸 수 있어요. 반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면서 오일도 기존 기술보다 2배 이상 생산했어요. 이경환 박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개발해온 열분해 오일화 ... ...
- [그래프뉴스] 소고기 먹을 때마다 온실가스가 뿜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온실가스가 많이 나왔어요. 가축과 농작물을 키울 때에는 전기와 가스 같은 에너지가 필요해요. 다 자란 가축과 농작물을 먹을 수 있는 제품으로 포장하고 옮길 때도 에너지가 사용되죠. 에너지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데, 이때 온실가스가 뿜어져 나와요 ... ...
- [특집] 암호화폐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올해 뉴스에 매일같이 암호화폐가 등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야. 코로나19로 비대면 경제가 활발해지며 암호화폐를 향한 열기가 뜨거워졌지. 그런데 암호화폐에 환경 ...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악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코딩 기초 코드작성기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그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이름을 지어주는 것도 좋죠. ➌ ‘명령 블록 카테고리‘에서 필요한 명령 블록을 찾아 넣어 볼게요. ‘플레이어’ - ‘채팅창에 말하기’를 드래그하여 다음과 같이 넣고 ‘에이전트 안녕’이라고 입력하세요. ➍ ‘에이전트’ – ‘에이전트가 플레이어에게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쓰일 수 있어요. 우리가 사는 동네에는 경찰서, 소방서, 도서관 같은 공공기관이 꼭 필요하죠. 이런 공공기관은 어디에 짓는 게 좋을까요? 어디에 살든 누구나 찾아가기 편리한 곳이라면 좋겠죠. 이럴 때 보노로이 다이어그램의 특징을 이용하면 도움이 돼요. 다각형 모양을 하나의 동네라고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해커들에겐 꿀단지나 다름없죠. 블록체인을 조작할 수는 없으니, 해커는 송금할 때 필요한 비밀번호를 거래소 서버에서 훔쳐, 자신이 거래소인 양 돈을 보내요. 그런데 블록체인은 특성상 한번 거래기록이 남으면 그 내역을 수정, 삭제할 수 없으니 피해자는 돈을 되찾을 수 없어요. 수 차례 해킹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물속에서 숨 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12cm 정도이다. 에필로그“어, 그러니까…, 제 뒤꽁무니로 액체를 넣으면…, 숨을 쉴 필요가 없다는 거죠?”왕자가 당황스러운 표정으로 꿀록을 쳐다보더니 말했어요.“아무래도 이 방법은 힘들 것 같아요. 설사 이렇게 해서 물속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인어공주가 좋아할 것 같지 않아요….”꿀록 ... ...
- [인터뷰] ‘어펜져스’ 맏형을 만나다, 승리 비결은 집중 또 집중!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상대의 실력을 존중하는 마음을 배울 수 있지요. 문채원 : 펜싱을 할 때도 수학이 필요한가요? 김정환 : 그럼요. 특히 제가 공격하거나 공격을 당할 때마다 머릿속으로 점수를 계속 계산하고, 심판의 판정으로 점수가 달라질 때도 계산에 반영해서 기억해야 하거든요. 점수에 따라 경기 전략도 ... ...
- [기획] 나는 건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채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유지·당류 등으로 구분돼요. 6가지 식품군을 매일 필요한 만큼 먹어야 해요. 2000kcal를 기준으로 곡류는 하루에 3회, 고기·생선·달걀·콩류는 3.5회, 채소류는 7회, 과일류는 2회, 우유·유제품류는 2회, 유지·당류는 6회 섭취해야 해요.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
- [JOB 터뷰] 우주과학자? 기업가? 당신의 본캐는? 컨텍 이성희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어쩌면 미래에는 대학교를 갈 필요가 없을지도 몰라요. 이미 여러 플랫폼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전 세계의 전문가들과 이야기 나눌 수 있거든요. 다만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생각해야 해요. 우주과학자 안에도 이론물리학, 로켓공학,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