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속에는 수없이 많은 기체 분자들이 들어 있고, 이런 입자들의 상호작용으로 열과 압력이 측정된다. 텅 빈 공간 안에 입자 한 개만 있을 때 열과 압력이라는 물리량은 정의할 수 없다. 시간도 그렇게 나타나는 부산물이라는 얘기다. 기체 입자 덩어리 간의 상호작용이 열과 압력을 만들듯, 양자 얽힘이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실험실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지상에서는 만들기 어려운 플라스마 현상을 직접 측정함으로써 별의 탄생과 소멸을 이해하고, 산업에 응용되는 플라스마 지식을 쌓아나간다는 의미가 있다. 우주 플라스마가 품고 있는 난제를 풀었을 때 우리는 우주와 인류에 대해 더 큰 시야를 가질 수 있을 ... ...
- [과학뉴스] 머릿속에서 센서가 사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센서(위 사진)를 만들었답니다. 이 센서는 뇌 속에서 뇌의 온도와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30시간 정도가 지나면 저절로 녹아 몸 속으로 흡수돼요. 즉, 센서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을 할 필요가 없는 거예요.존 로저스 박사팀은 실제로 쥐의 두뇌에 이 센서를 넣고 두뇌의 정보를 얻는 데 ... ...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냈다.“7분 모래시계와 11분 모래시계가 있어. 이걸로 지금부터 15분 뒤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조만 보내줄 거야!”7분 모래시계와 11분 모래시계로 15분 뒤를 정확히 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문제 : 이현, 김현경(KAIST 수학문제연구회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수치를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람들이 원하는 건 정치적으로 독립된 기관에서 측정한 정확한 방사능 수치 정보입니다. 당연한 권리이지만 현 시점에서는 싸우지 않으면 그런 진실은 얻을 수 없어요. 저 역시 노린재목 곤충들을 이용해 끝까지 싸울 겁니다. 힘없는 작은 생명에 불과하지만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제어하는 기술을 매우 정교하게 실험할 수 있다. KSTAR에는 난류의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진단장치가 적용됐다. 모든 연구들이 그렇지만 핵융합 연구는 도전과 실패가 반복되는 지난한 과정의 연속이다. 그러나 혼돈과 불면의 시간 끝에는 반드시 모든 것들이 명확하고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사람을 기준으로 30° 정도 기울어진 각도에서 찍힌 듯하다. 보폭을 측정하기 위해선 이 화면을 사람 정수리 위에서 찍은 화면으로 수치 변환을 해야 한다.[ 판결 ] 징역 1년 형에 처하다11월 5일(화)판사 평소 미국에 대해 앙심을 품고 있던 피고인은 2013년 7월 1일 대구 수성구에 ...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연구팀은 NASA의 쌍둥이 인공위성 그레이스(GRACE)를 이용해 미세한 지구 중력 변화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육지 표면을 흐르는 물의 총량을 계산했다. 이렇게 추정한 2002~2014년 사이의 물 용량 변화를 빙하가 녹는 속도와 비교했다. 그 결과, 최근 10여 년간 흙과 호수, 지하수 등에 3조2000억t의 물이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했다. 언론 발표가 임박했을 즈음 여러 정보가 계속 새어나갔다. 심지어 구체적인 측정값까지 공개가 됐다. 실수로 e메일이 유출됐다는 이야기도 들었다.이런 정보유출은 거대과학실험을 운영하는 조직에겐 달가운 일이 아니다. 실제 잘못된 루머로 과학적 사실이 왜곡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가장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정보로 물체를 보는 컴퓨터는 사진 속 물체의 거리를 알기 어렵다. 픽셀 별로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함수를 만들어 주면 좋겠지만 이것이 어렵기 때문에 컴퓨터에게 문제와 정답을 잔뜩 알려주고는 학습시킨다. 그러면 컴퓨터가 알아서 사진 속의 깊이를 파악하는 함수를 만들어낸다. 그렇지만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