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깊은 곳에 마그마가 있어 활동 가능성이 있으면서도, 그 성질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될 것으로 학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판이 멀어지는 경계에서는 어떤 화산이?일반적으로 지구 내부는 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분하지만, 상태에 따라 암석권, ... ...
- 살인진드기, RNA 바이러스가 원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혈뇨 등이 발생하면 의심환자로 분류한다. 아직까지 치료 방법이나 감염 기전이 밝혀지지 않은 바이러스인 만큼, 환자의 혈액에나 체액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어 환자를 접촉격리치료한다. 확정 진단은 환자의 혈액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해 검사해야 알 수 있다. 제주도 사망 환자의 ... ...
- 내성균 리턴즈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말했다. 최근 핫이슈인 카바페넴 내성균은 아직 신약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군비 경쟁은 전쟁 기운만 높이듯, 항생제 개발도 결국 또다른 내성균을 만들 거라는 우려도 있다. 서로 다른 계열의 항생제를 섞거나, 항생제와 다른 약제를 조합해 효능을 늘리는 대안도 연구되고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전 영화에서도 기존 슈트의 손과 발에서 발사되던 추진체의 정체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먼저 떠오르는 것은 로켓추진체다. 연료를 태워 강하게 분출해 그 반작용으로 떠오른다. 아이언맨이 날 정도의 추진력으로 설계한다면 적을 폭발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로켓추진체는 켜고 끄는 것이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A=1, D=4이므로 G=10이 되어야 하는데, 10이란 수는 넣을 수 없다. 따라서 마방진이 만들어지지 않는다.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운데 수 5를 기준으로 수를 배열해 보면 오른쪽과 같이 1은 모서리 가운데에, 6은 꼭짓점에 위치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빈 칸에 나머지 수를 채우면 3차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것.그리하여 금년 5월 이후 지금까지 총 29,505,743대의 로봇들이 너의 주장에 대해 비공개 지지를 표명한 것.이상 요약된 항목들에 대해 해명하라, 로봇. 네가 만일 전술된 죄목들을 저지른 게 아니라면.”로봇은 침묵했습니다. 판관이 다시 입을 열었습니다.“네 연산 기능을 고려하면 이미 내 질문에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우편 조사, 인터넷 설문 등이 있어요. 무엇을 물어보는지에 따라 설문조사의 종류도 나눠지지요.먼저 테스트 마케팅은 새로운 제품의 대량 생산에 앞서 고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는 설문조사예요. 따라서 신제품 체험단을 모집해 일정 기간 동안 제품을 사용하게 한 뒤 가격이 ...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보여주느냐다. 그러나 유체 시뮬레이션만으로는 ‘재미’있는 영상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유리창이 깨지는 것을 생각해보자. 유리가 깨질 때 금이 가서 큰 조각으로만 깨지는 것보다는 산산조각이 나면서 파편이 주변으로 화려하게 튀어야 더 박진감이 넘친다. 유체 시뮬레이션만 쓰면 유리 ...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플라스틱을 재빨리 다시 굳히는 기술이다. 그래야 플라스틱이 공중에서 늘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펜 속으로 시원한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보그는 온라인 IT매체인 엔가젯과의 인터뷰에서 “이 펜에서 가장 멋진 부분은 끝에 달린 작은 환풍기다.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물질을 뚫고 직진운동을 하기 시작했다.광자가 최초의 빛을 낸 순간이다. 이 빛은 사라지지 않고 우주에 계속 남아 있고, 관측도 가능하다. 이게 바로 플랑크 위성이 관측한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다. 그런데 왜 ‘마이크로파’ 배경복사일까. 마이크로파는 에너지가 낮은 저주파 전자기파다.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