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미국 노스다코다 주립대팀은 산악자전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어요. 코스에 있는 여러 종류의 지면에 대처하기 위해 바퀴 바깥 부분을 최대한 울퉁불퉁하게 만들었죠(위 사진). 또 바퀴에 공기를 넣을 수 없기 때문에, 대신 바퀴 안쪽을 탄력성 있는 고무로 만들었어요. 지형에 맞게 바퀴의 형태가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도구를 만드는 원숭이는 너희뿐이니? 2012년 이스라엘 하이파대 연구팀이 영장류의 한 종류인 ‘보노보’에게 석기를 만들도록 훈련시키는 실험을 한 적이 있어요. 실험 결과, 보노보는 구석기 시대에 인간이 만들었던 석기와 비슷한 도구를 만들어냈답니다.하지만 훈련 없이 야생에서 스스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척추고생물학의 대가인 임종덕 박사님이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매머드는 다섯 종류가 있답니다. 그 중 오늘 여러분이 만나 볼 매머드는 ‘털매머드’에 속해요. 약 45만 년 전부터 1만 1000년 전까지 살았던 매머드로, 이름 그대로 온몸이 길고 부숭부숭한 털로 덮여 있었답니다.”보통 매머드 ...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실행하고 화면 왼쪽에 있는 블록을 오른쪽으로 옮기면 스‘프라이트’라 불리는 여러 종류의 캐릭터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답니다.예를 들어 고양이 모양의 스프라이트를 신나는 음악에 맞춰 춤추게 하고 싶다고 해요. 그럼 고양이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동작 블록을 쌓고,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비교적 흔한 오색딱따구리부터 천연기념물 제242호인 까막딱따구리까지 딱따구리 종류도 많이 살고 있어요. 수목원의 길을 걷다 보면 딱따구리들이 썩은 나뭇가지를 쪼아 벌레를 잡아먹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답니다.그런가 하면 겨울에만 찾아오는 친구들도 있어요. 깊은 숲에서 사는 자그마한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전혀 다른 모양이에요. 지름 5cm 정도의 단단한 공처럼 생겼지요. 그러나 칠엽수의 한 종류인 서양칠엽수의 열매는 둥그렇고 딱딱한 겉껍질에 날카로운 가시들이 달려 있어서 밤과 비슷해요. 열매도 역시 밤과 비슷하게 생겼답니다.우리나라에서는 말밤을 먹지 않아요. 하지만 외국에서는 독성이 ...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단풍나무과’에 속해요. 이 나무들은 잎이 손가락 모양으로 얼마나 갈라졌느냐에 따라 종류를 구분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잎의 ‘손가락’이 세 장이면 ‘신나무’, 다섯 장이면 ‘고로쇠나무’, 일곱장이면 ‘단풍나무’, 아홉 장이면 ‘당단풍’이지요.‘복자기’와 ‘복장나무’는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등의 생체 인식의 특징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감각기관의 종류와 역할5. 수업 지도 순서열쇠나 카드, 번호를 제외하고 우리 몸의 일부가 열쇠 역할을 해서 무언가를 열어 본 적이 있는지 묻고 대답한다. ▶ 우리 몸의 생체 정보가 왜 열쇠를 대신할 수 있는지 기사를 토대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빙글빙글 소용돌이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자기장이 생겨요. 또한 건전지 밑에 있는 자석에서도 자기장이 나오고 있답니다. 즉, 두 종류의 자기장이 구리선에 영향을 주고 있는 거예요. 방향이 다른 두 개의 자기장은 물리적인 힘을 만들어내요. 실험에선 구리선을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이 만들어지지요.다양한 소용돌이를 만드는 모습과 ... ...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드러난다. 이때 서식굴은 천적의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해 주는 공간이 된다. 조개의 한 종류인 맛은 썰물 때 서식굴 속에 있다가 밀물이 되면 굴 밖으로 나와 바닷물에 있는 먹이를 걸러 먹는다.2. 생존의 공간갯벌에 사는 동물은 대부분 해양 동물이다. 아가미로 호흡하는 해양 동물에게 서식굴은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