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장
과시
자부
자존심
교만
긍지
자랑거리
d라이브러리
"
자랑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있다. 또 무게가 6백t이나 나가는 검출기도 지상에서 1백30m 위로 올라간 채 그 위용을
자랑
하고 있다. 리셉터들은 액체 헬륨으로 냉각된다고 한다.그러나 전파망원경이 작동을 하면 그 주변에 있는 생물체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어쩌면 7ha 이상의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난초와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새를 모방한 날개치기 비행기를 꿈꾸던 시대인데, 우리나라 항공의 역사자료로 아주
자랑
할만한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보다 자세한 내용의 기록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CBN을 제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원가가 15% 이상 절감되는 효과를 얻었다"고 은박사는
자랑
한다.1953년에 인조다이아몬드가 첫 선을 보인 이래 단단하고 강한 물질을 개발하는 일이 한동안 붐을 이뤘다. 이 여파로 1957년에 미국의 GE사가 처음으로 CBN을 개발하게 되었다. CBN은 상온에서의 경도(硬度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있을 정도 그들은 체계적으로 훈련을 시키므로 지금까지 언어가 문제된 적이 없다고
자랑
한다. 러시아말을 모르는 한국인도 우주정거장에 탑승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한다.소련에서 처음 유인 우주비행을 할 때의 우주음식은 보잘것이 없었고 종류도 제한돼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 ...
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 위원장 권원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1위를 차지했다'는 보도가 나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 결과만 놓고
자랑
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당시 시험 문제가 우리 출제방식과 비슷한 객관식 중심이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90년) 북경 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한 우리 학생들은 꼴찌에 가까운 32등(54개국중)에 머물렀다. 이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큰 항목으로 취급된다. '작은 고추가 맵다'는 식으로 우리 조상들은 오랫동안 단구를
자랑
해 왔지만 이제는 그 양상이 완전히 뒤바뀐 것. 1세기 동안 10cm 커져아무튼 많은 사람들이 키가 좀더 컸으면 하고 바란다. 짧은 다리를 잡아늘리는 수술과 이른바 신장기가 등장해 한동안 인기를 누린 것은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걸고, 또 최고의 부품과 재질을 투입하여 심혈을 기울여 제작하였다고 그들 스스로
자랑
스러워하고 또 현지언론에서 이미 대대적으로 보도한 바 있다.출항 얼마후 아름다운 북구 스칸디나비아반도의 피요르드해안을 뒤로 했을 때, 이제는 모든 운항계획의 수립, 첨단장비의 시험 및 작동,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의해서 완성된 전기식 아날로그 M-9 조준기는 하늘의 불침번이 되었다. 90㎜의 위풍을
자랑
하는 포가 윙윙거리며 하늘을 지켜보는 광경은 무척이나 믿음직했을 것이다. 1944년 독일은 마지막 남아있는 로켓포인 V-1을 모두 영국 런던을 향해 쏘았다. 그러나 M-9 덕택에 V-1의 약 90%는 도중에서 격추되고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할 수 있다.혼자만 너무 앞서 나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며 몇가지
자랑
(?)을 늘어놓는다. 좋은 책을 보다가 혼자 보기 아까우면 번역해 사람들한테 돌린다는 것. 얼마전에도 망원경제작과 관련된 책을 2백권 찍어 실비만 받고 아마추어들에게 돌렸으나 3분의 1밖에 소화하질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공부를 계속했는데, 지도교수가 MIT 재료공학과 개설 이래 처음 보는 우수한 학생이라고
자랑
이 대단했다고 한다. MIT에서 박사과정를 마치고 하버드대학의 탄불 교수 밑에서 중요한 연구를 하던 김박사에게 나는 이렇게 청했다. "고국에 돌아와 우리나라 기술개발을 이끌어보지 않겠소?"이렇게 하여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