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고온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품종이 필요하다. 당장
우리나라
만 보더라도 봄철 기온이 상승하고 강우가 잦아지면서 밀에 싹이 나는 비율이 5~15배로 늘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이 5월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평균 기온이 1도 상승함에 따라 이삭 패는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북극의 온난화가 가속화를 이해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북극에서의 온난화 가속화는
우리나라
를 포함해 중위도에 살고 있는 인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북극 온난화는 겨울철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지역의 한파를 유발합니다. 인류가 내뿜은 이산화탄소가 기후 피드백 효과를 일으켜 ... ...
[과학뉴스] 3년 만에 온 메르스 발병 열흘 만에 완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바이러스성 감염병인 에볼라(83건)나 급성호흡기증후군(SARS·292건)에 비해 월등히 적다.
우리나라
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국가에서 메르스 환자와 희생자가 발생해 글로벌 제약회사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데다, 2012년 이후 등장한 새로운 감염병이어서 연구가 활발하지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주제로 이야기하듯 하나의 자연스러운 문화로 인식하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에서 과학을 콘텐츠로 다루는 크리에이터가 거의 없는 이유는 너무나 자명합니다.노력한 만큼의 수익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죠. 저 역시도 본격적으로 활동한 지 이제 겨우 10개월 남짓한 새싹 단계이기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발사 이후 2034년까지 모든 위성의 발사가 마무리 된다. 서비스는 2035년부터 시작된다.
우리나라
의 독자적인 위성이 우리 삶에 등장하게 될 멀지 않은 미래를 상상해 본다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나라간 기술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역할이 더욱 막중해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의 기업이 기술을 다른 나라에 수출하려면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관에서 발급한 교정 및 측정성적서를 제출해야 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전세계 측정 표준대표기관과 함께 ‘CIPM(국제도량형위원회) MRA ... ...
[Career] 환자 뇌파로 재활로봇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등을 개발해 상용화시켰다. 지난해 65세 이상 비중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
도 재활로봇을 활발히 개발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재활로봇의 역할은 재활치료를 보조하거나, 기존의 치료법을 로봇으로 자동화하는 수준이었다. 김종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 ...
컴퍼스는 가라! 이제 수학 공부는 알지오매스로~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교육에 딱 맞는 ‘알지오매스’를 만들었다.알지오매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으로 작도하는 법을 배운다. 그러나 정해진 수업 시간 내에 해결해야 하니 시간에 쫓겨 다양한 도형을 작도해 볼 수 없다. 알지오매스를 이용하면 수정도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유럽 국가만 유리하다는 문제로 말이 많았던 기존 FIFA 랭킹 체계보다 새로운 FIFA 랭킹이
우리나라
국가대표팀의 순위에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얼마 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통해 한국 축구에 좋은 기대감이 다시 생겨난 만큼 새로운 평점 시스템과 함께 다시 한번 한국 축구의 희망찬 발전을 ... ...
Part 3. 하늘을 가르는 거대한 비행기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들어가면 새도 죽고, 엔진이 고장 나서 비행기에 탄 사람들이 위험에 빠질 수 있지요.
우리나라
에서는 최근 4년간 무려 900건 정도의 버드 스트라이크 사고가 있었어요. 이에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는 드론으로 새를 쫓아내는 방법을 시험하고 있답니다. 이 드론에는 적외선 카메라와 스피커가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