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능력
역량
힘
재능
솜씨
지력
권력
d라이브러리
"
실력
"(으)로 총 1,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학자의 제일 관건이번 대회에는 34개국에서 1백 35명의 고교생이 참여하여 화학
실력
대결을 벌였다. 작년에 참관인으로 왔던 한국 멕시코 뉴질랜드 대만이 금년에 모두 학생들을 데리고 정식 참가하였다. 금년에 참관인만 보낸 나라는 이란 이스라엘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네나라였다.학생들은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전문분야가 나뉘어 있습니다. 회원들은 거의가 아마추어 식물학자들이지만 열의와
실력
은 대단합니다.문제세…손선생님의 현장학습 계획은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확신해요. 요즘 수학여행이나 소풍이 본래의 의미와는 벗어나고 있는데 이런 기회를 십분이용하면 지질 식생탐사 등은 얼마든지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특별활동 시간에 제한된 교육을 받을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
실력
이 올라가리라 기대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컴퓨터의 중요성을 누구나 인식하면서도 정식 교과목으로 넣지 못하는 이유는 다른 과목 견제 때문이라고 한다.외국의 경우 오래전부터 컴퓨터가 정식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오래 버티기 힘들다는 것.아무튼 대다수의 과학고 학생들은 입학후 발군의
실력
을 보여 일반고교 학생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세계의 젊은 두뇌들이 겨루는 국제 수학 물리 화학 정보(컴퓨터) 올림피아드에서도 이들의 활약상은 두드러진다. 올해 7월에 러시아의 모스크바에서 열린 ... ...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더 이상 소프트웨어 개발이 내 갈길이 아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 사건이었다.기초
실력
도 없고 군복무 3년이라는 공백 때문에 이미 20대 후반이 되어버린 필자는 한글과의 만남을 통해서 진로를 좀 더 빠르게 결정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 글이 이달초 2.0판을 선보이면서 새롭게 탄생한다. 기존 ... ...
테마에세이/인간과 환경⑤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때문이라지만 쓰레기버리기 1위인 미국 사람들의 1인당 1.7kg에 비하여 그리 뒤지지 않는
실력
이다. 미국에서는 73%를 위생매립하고 있고, 14%를 소각, 13%를 재활용하고 있으며, 일본은 70%를 소각처리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94%를 매립에 의존하고 있고, 소각처리는 2%, 재활용률은 3%에 지나지 ... ...
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 위원장 권원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31개국이 대표단을 파견했습니다. 참가학생들은 이틀간 이론 및 실험문제를 통해
실력
을 겨루는데 첫날은 이론 4문제 둘째날은 실험 1문제를 각각 풀게 됩니다.국제화학올림피아드는 1969년 체코에서 폴란드 체코 헝가리 세나라가 모여 첫대회를 열었고, 74년 서유럽국가들이 참여하기 시작하여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대장경 조판작업의 분사(分司)가 남해에 설치돼 있었고 작업의 총책임자였던 조정의
실력
자 최우의 식읍지가 진양에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일단 선택된 나무는 3년 간 바닷물 속에 담가 진액을 완전히 뺀 뒤 다시 소금물에 삶아 그늘에서 말렸다는 얘기가 구전된다. 소금물을 먹은 나무는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짬이 나면 청계천 헌책방을 뒤져서 라디오나 화약에 관한 책들을 사 모았다. "그때 닦은
실력
으로 지금도 웬만한 화약은 만들 수 있다"고 말하는 이씨는 "대학은 해양(생물)학과에 가길 원했으나 집안의 반대에 부딪쳐 법학과를 택했다"고 아쉬워한다.아버지의 완강한 고집을 꺾어보려고 할머니를 ... ...
미국 과학자 대다수 SSC에 반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있다"고 전했다.다음은 로이 박사의 편지 요지.50년대 미국 과학자들은 일본의 과학
실력
이 보잘 것 없다고 여겼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의 하이테크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학설이 등장했다. "일본인은 본래 창조적이지 않다. 창조성을 측정하는 유일한 기준은 기초연구이고 이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