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추위를 감수하고 헌신적으로 하늘을 쳐다보는 관측자만이 많은
수의
유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특히 오리온자리 유성우는 매우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다. ■ 철통같은 수비10월의 새벽하늘은 더이상 가을이 아니고 겨울이다. 밤하늘도 이미 겨울철의 화려한 1등성들이 ... ...
당신을 '컴퓨터 도사'로 만드는 OLE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다양한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수치를 그래프로 시각화한다면 일견 무의미한
수의
나열과 같아 보이는 자료가 갑자기 어떤 표정을 띠어감을 알 수 있을 것이다.그렇지만 여기서 모든 일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를 일목요연하게 표현하는 것이 최종적인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있는 전하량을 측정한 '밀리칸'은 기름방울이 갖는 다양한 양의 전하량들이 항상 어떤
수의
정수배만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전하의 이동은 전자의 이동으로 일어나는 것이므로 전자 한 개가 갖는 전하량은 밀리칸이 알아낸 어떤 수와 같아야 한다. 그 값은 여러 명의 과학자가 정밀한 실험으로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압력하에서 적당한 촉매에 접촉시키면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방대한
수의
촉매를 탐색한 끝에 철 계열의 촉매반응에 성공했다. 이것은 곧 산업화돼 독일은 공기중 질소를 이용해 화약과 비료의 원료인 암모니아를 대량으로 값싸게 얻을 수 있게 됐다. 이러한 발견으로 독일은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광범위한 부분에 걸쳐 수많은 실험을 통해 사용가능 부품을 선별해야 한다. 되도록 많은
수의
국산 부품들의 직접 비행모델에 장착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우리별 1호와 2호는 모두 과학기술실험위성이다. 대기권을 조금 벗어난 곳의 우주공간에는 수많은 인공위성들이 떠다니고 있으며 이들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출발점에서부터 1백km의 거리에 있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허블상
수의
역수로부터 모든 우주의 물질들이 한점에 있었던 때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구한 우주의 나이는 우주내 물질의 상호중력에 의한 팽창의 감속 때문에 현재 우주의 밀도에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몇도가 될까? 화씨온도는 0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32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눈금
수의
반이라고 해서 90℉라고 하면 안된다. 섭씨 50℃는 수은주가 물의 끊는 점과 어는점의 중간에 있다는 것이니까 화씨로는 1백80의 반인 90눈금만큼 올라갔을 것이고 화씨는 32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90에다 32를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자리를 옮기고 있다.흑점은 위도가 너무 높은 쪽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흑점
수의
극소기로부터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려고 할 때에는 고위도에 나타나고, 최성기에 들어갈 쯤부터 위도가 낮은 쪽에 나타난다.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쌀알을 뿌려 놓은 듯한 나비 모양을 이룬다. ... ...
개의 치매증 진단하는 기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걸린 개의 뇌를 분석해 이를 진단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됐다는 소식이다.지난 4월 일본
수의
학회에서는 '개의 치매증에 관한 연구'가 발표됐는데, 여기서는 개의 치매증에 관한 정의와 진단기준이 제시됐다고 한다.'일단 획득했던 학습 및 운동기능의 현저한 저하가 지속되어 사육이 곤란한 상태'가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반응에서 수소 : 산소의 부피비는 2 : 1이다. 이는 물을 구성하는 수소원자수 : 산소원자
수의
비가 1 : 1이 아닌 2 : 1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당시 실험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던 스웨덴의 베르셀리우스는 실험적 법칙을 수용하여 원자량 표를 새롭게 만들었는데 그의 질량 측정에 스스로 고안한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