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뇌에 칩을 이식해 자신의 팔에 부착된 로봇 팔을 움직일 수 있게 했다. 에릭 소토는 손을 흔들거나 음료수를 마시는 등 간단한 동작은 물론 가위바위보 같은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몸에 여러 가지 칩이나 기기를 이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 정맥인식 등 생체인식 ... ...
- [Issue] 길고양이가 살인진드기 옮긴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전파된 첫 사례가 일본에서 보고됐습니다. 일본 보건 당국은 지난해 길고양이에게 손을 물린 50대 여성이 열흘 만에 SFTS증상으로 사망했다고 7월 25일 밝혔습니다. 과연 길고양이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무시무시한 매개일까요? 길고양이는 확실히 공범인가? 이번 사건에 전세계가 떠들썩한 이유는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많은 사람들이 생명을 잃었다. 18세기 중반 유럽 도시에서는 의사들이 시체를 만진 손을 씻지 않고 분만실에 들어가는 바람에 수많은 산모가 산욕열로 사망했는데, 간단한 소독만으로도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이론이 받아들여지기까지 100년이 더 걸렸다.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밀렵꾼 ‘애니멀 다자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아저씨는 코가 손이래~♬” 화창한 5월을 맞아 아프리카 밀림 여행을 떠난 썰렁홈즈. 그런데 이게 웬일? 원주민들이 밀림의 동물을 누가 싹 훔쳐갔다며 울고 있는 게 아닌가! 이때 타잔처럼 나타난 이가 있었으니…. “빵야~! 나는야 밀렵꾼 ‘애니멀 다자브리’다. 동물들은 내가 싹 다 잡아갔지롱~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헤엄치는 ‘리틀 선피시’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붕괴된 후쿠시마 제1원전의 훼손 정도가 예상했던 것보다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7월 20일 일본 공영방송 NHK에 공개된 수중 영상을 보면 3호기의 원자로 아래에 있던 1차 격납용기(PCV) 구조물이 완전히 사라져 있다. 원자로에서 흘러나온 핵연료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그 나름대로 일이 흘러가겠지. 결국엔 모두 좋아질 거야. 너와 너희 엄마만 빼고.”손에 쥔 유리병을 말없이 바라보던 하림은 말없이 고개를 끄덕이고는 방을 나갔다.마고도 가만 있을 리 없었다. 수학경시대회 수상자가 발표되자마자 메시지를 보내왔다.“웬일이야? 네가 수학경시대회에서 ... ...
- 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는야 16차원에서 날아온 섭섭박사! 과학 연구실이라면 가 볼 만큼 가보고, 웬만한 실험이나 메이커도 다 해 봤지! 그런데 뭐지? 뭔가 부족한 이 기분?안 되겠어! 과학의 ... 드립니다!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Part 5. 3D프린터, 트랙터까지 내 손으로 ... ...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촛불로 LED 램프를 켠다?밤이 돼도 환한 도시와 달리, 전세계 15억 명은 여전히 조명 기구 없이 생활하고 있어요. 어둠 속에서 밤을 보내거나 작은 양초, 등유 램프 같은 약한 불빛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Part 5. 3D프린터, 트랙터까지 내 손으로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상으로 참가자의 손과 개인 물품에 묻은 화학물질을 분석했다. 휴대전화를 잡는 오른손에서 8개의 샘플을, 또 휴대전화에서는 앞면과 뒷면에서 각각 2개의 샘플을 추출했다.각각의 휴대전화에서는 루틴, 플라본 글리코시드, 덱스판테놀 등 다양한 화학물질이 나왔다. 연구팀은 6개의 휴대전화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좌표로 바꿔서 점을 찍어 봤다.‘이 다음엔 어떻게 하지?’전자펜을 들고 까딱거리던 손이 무의식적으로 (1,1)에서 (3,8)까지 선을 그었다.‘그래! 1월 1일에서 3월 8일이라고 했으니 (1,1)에서 (3,8)까지 선을 긋는 거야.’자신감이 생긴 하림은 나머지에 대해서도 그렇게 해 보았다.‘생일이니까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