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적이 없어요. 하지만 ●시추를 통해 맨틀에 도달하려는 계획을 계속 시도하고 있지요. 일본의 지큐호는 2012년 해양지각을 2111m까지 뚫어 해양지각 시추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답니다.●시추 : 지층을 조사 하거나 자원을 얻기 위해 땅속 깊이 구멍을 뚫는 일.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믿지 않는 ...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확대)▼‘지구에서 가장 빠른 인간’이 8월 트랙을 떠났다. 올림픽 금메달 8개, 세계선수권대회 11차례 우승 등 ‘살아있는 전설’로 불린 우사인 볼트가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7년 국제육상경기연맹 세계선수권대회를 끝으로 은퇴했다. 이번 대회에서 볼트는 남자 100m 결선에서 3위에 그치면서 허 ...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있는 생태 공원을 마련하고, 야생동물을 임시로 보호하는 시설을 지을 계획이랍니다. 본래 동물원에서 살고 있던 2500여 마리의 동물들은 야생 적응 훈련을 시킨 뒤 조금씩 자연보호구역으로 돌려보낼 예정이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울타리 없애고 가상현실로 만나고~! 동물원은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창 활발하게 연구를 이어가던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됐다. 아들은 겨우 생후 20개월. 어린 아들의 건강이 염려됐지만, 자리를 쉬이 포기할 수는 없었다. 서둘러 아이를 부산 부모님 댁에 맡기고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물감을 고르듯이 불꽃의 색깔을 결정할 수 있을까. 별도 화약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구성성분은 할화약과 비슷하다. 그런데 별이 터질 때 색깔을 띠는 결정적인 이유는 금속과 비금속 원자가 서로 이온결합된 화합물인 염이 들어 있어서다. 별에 있는 화약이 터질 때 연소반응으로 열이 방출되면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아무렴. 이서영주로 환상소설이나 운동권소설 혹은 환상적운동권소설을 써 왔다. 단행본으로 앤솔로지 ‘이웃집 슈퍼히어로’와 칼럼집 ‘일 못하는 사람 유니온’, 단편집 ‘악어의 맛’이 있다. 환상웹진 ‘거울’에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한답니다.‘아플 통(痛)’의 부수인 ‘병들 녁(疒)’은 사람이 병들어 누워 있는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어요. 여기에 발음요소인 ‘솟아오를 용(甬)’이 더해져, ‘병이 들거나 다친 곳이 종 모양으로 부풀어오른 것’을 나타내죠. 예전에는 바늘로 찌르듯이 아픈 신경통의 의미로 사용되다가 이후에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생기면서 기압은 높아진다. 이 현상은 시속 1700km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달의 본그림자를 따라 대기 중에 전파되면서 중량파를 일으킨다.한국 최초의 우주태양망원경 개발 시험무대필자가 속한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도 이번 개기일식 동안 원정관측을 할 예정이다. 우리팀은 미국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띄운 사진 중 어떤 걸 기준으로 할지 고민할 필요가 없어졌으니까요. 드디어 제 사진의 본色이 드러났군요. 사실 캘리브레이션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영상이나 사진 같은 색과 깊이 관련 있는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하지요. 듀얼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두 모니터 사이의 색을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넣을 수 없을까. 뇌과학자에게 그 비법을 들어보자.방금 책에서 본 내용을 한참이 지난 뒤 시험시간에, 면접 때, 누군가에게 아는 척하며 설명하고 싶을 때, 뇌에서 꺼내 쓰려면 이를 장기기억으로 뇌에 저장해야 합니다. 장기기억은 신경회로에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 즉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