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더욱 새롭고 신기한 암호를 만들기 위해 머리를 싸매고 노력해. 덕분에 우리는 여러 가지
문화
상품을 통해 재미있는 두뇌 싸움을 벌일 수 있단다. 그러면 여기서 살짝 맛을 볼까?통계와 맥락으로 해결!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 시리즈 중 하나인 ‘춤추는 인형’에는 그림으로 된 암호가 등장해.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나간 모습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었다. 배율 5000배.머리를 맞댄 피닉스 부부바이오
문화
상·고등부 | 김수진·서울과학고불사조 피닉스 부부가 머리를 맞댄 채 시선을 주고받는 듯하다. 여왕개미 머리의 더듬이가 몸체와 붙는 기절을 찍은 사진이다. 기절은 겹눈 앞쪽에 위치한다. 배율 250배.웃음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의 언어학습과 사고, 지각에 관한 인지심리와 사회
문화
적 현상이 주요 관심사다. 현재 계명대 심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세대다. 2000년대 초반부터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나’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는
문화
도 확산됐다.양 원장은 “이성 관계는 주고받음의 균형이 필요하지만 초식남과 건어물녀는 대부분 받기만 원하고 주는 것은 싫어하는 성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가정에서 많은 관심과 사랑을 독차지하고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분석실장전용훈 일본 교토산교대 객원연구원주일우 문지
문화
원 사이 기획실장최정규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눈길이 머무는 이달의 책| 이범의 교육특강 |이범 지음 | 다산에듀 | 288쪽 |1만 3000원앞으로 몇 년 뒤 대입을 치를 수험생이나 학부모들이 궁금해 할 내용을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쇠퇴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인터넷이나 휴대전화처럼 빠른 속도로 이뤄지는 미디어
문화
에 젖어 한 가지 문제를 깊게 생각하는 능력이 예전에 비해 떨어졌다는 것이다.어차피 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어려운 수학은 쓸모 없지 않느냐고? 정말로 이렇게 생각한다면 엄청난 오산이다! 수학의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수학을 공부하는 경향이 있는데, 수학동아와 같은 잡지가 수학을 부담 없이 즐기는
문화
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하하.”수학동아에 당부의 말을 잊지 않은 박 교수의 얼굴은 어느 새 우리나라 수학의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빛나고 있었다. 수학계의 올림픽, 월드컵이라고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중극장에서 잇달아 펼쳤다. J번째 시간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융합
문화
사업의 하나로 지원한 공연이다. 이 공연의 아이템 구상부터 연출, 기획까지 맡은 그는 2150년 미래에는 맞춤형으로 기억을 성형하거나 맘대로 유전자를 개발할 수 있어 기계 몸을 가진 하이브리드 인간이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만들어지는 과정을 자세하게 예상한 성과도 이렇게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한 실험실
문화
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자부한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서울대 교수로 임용되고 마이크로 RNA 연구를 세계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비결을 묻자 김교수는 “좋아하는 연구를 신나게 하는 것뿐”이라고 답했다. 그는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8039c㎥로 약 18L가 된다. 옛날 우리 선조들이 사용했던 수학은 오늘날 우리에게 흥미로운
문화
일 뿐만 아니라 당시의 과학기술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