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수상은 블랙홀 연구의 마무리가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블랙홀 특이점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상대론과 양자론의 협력이 필요하고 비밀스런 블랙홀의 물리현상에 대해 과학자들이 이제 막 그 실체를 보기 시작했다. ※필자소개우종학.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생물 실험에 필요한 것을 사거나 만들수 있습니다. 이들을 바이오해커라고 부릅니다.생명공학 기술을 비롯해 우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어떤 연구가 더 필요한지, 이를 안전하게 적용할 방법은 무엇인지 찾는 과정엔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 보통난이도2012년 8월 29일 오전 7시 40분, 나로호 3차 발사에 쓰일 1단 로켓이 항공편으로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하역준비, 세관검사, 통관, 하역작업 등을 거 ... 2013년 1월 30일 다시 한 번 발사대에 섰다. 3번째 발사, 3번째 시도, 마지막 기회였다. 운명의 카운트다운 순간이 다가왔다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마틴 헤어러 실리콘밸리의 노벨상 수상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시상식은 할리우드 영화상 시상식 을 방불케 할만큼 화려하고 성대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올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2021년 3월로 미뤄졌습니다. ... ...
- [수학뉴스] 무증상 청소년 코로나19 감염자 수 수학 공식으로 예측한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1.07을 곱한 뒤 0.23을 더해서 구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공식을 검증하기 위해 추가로 1만 5천 명의 무증상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코로나 검사를 진행한 결과, 실제 확진자의 비율이 예측한 값과 비슷했습니다. ... ...
-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라는 새로운 p값이 구해졌어요. 여전히 작은 확률이지만 네덜란드 전체 간호사 25만 명 중 200명 정도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뜻이므로 그렇게 의심스러운 값은 아니에요. 결국 2006년 10월 새로운 조사 위원이 꾸려졌고, 더베르크는 암버르가 사망한 지 약 18년 만에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았어요 ... ...
- [기획] 즉문즉답. 슈넵스 박사에게 묻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말한다면 그냥 받아들이지 말고 몇 명 가운데 0.01%에게 일어나는지 질문하세요. 1000만 명 가운데 0.01%에게 일어나는 일이라면 여러분은 ‘그런 일’을 1000번이나 볼 수 있다는 뜻이에요! 이건 전혀 드물지 않죠. 확률은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 데 자주 쓰이니 숫자에 현혹되지 말고 늘 객관적으로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친구를 만나다!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한 명씩 만나볼 예정입니다. 이번 주인공은 꾸준히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코너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삼각파이’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안녕하세요, 저는 광주광역시에 사는 대자중학교 2학년 양해승이라고 합니다! ... ...
- [이달의 수학자] 집단 지성의 힘을 믿는 수학자, 티모시 가워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합친 결과였죠. 가워스 교수는 이 증명을 ‘D.H.J(Density HalesJewett) 폴리매스’라는 저자명을 붙여 논문으로 냈습니다. 이후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수학 문제를 집단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리잡았고, 수학동아와 미국 매사추세스공과대학교(MIT) 등 많은 곳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가워스 교수는 더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1호
- 9로 ‘집콕’ 아이템이 주목받는 시대입니다. 그중에서도 ‘브릭’의 대명사인 레고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브릭이 집이 아닌 연구실에서도 사용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것도 첨단분야라 할 수 있는 MRI, 양자컴퓨터, 인공고기 연구에서 일어나는 일이랍니다. 브릭의 볼록 나온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