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찬가지"(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같은 경우는 이미 흑돌 세 개로 흑집을 만들었기 때문에 나머지 칸에 백돌을 둘 수 없다. 마찬가지로 그림❷ 역시 백돌 2개로 백이 두 집을 만들었기 때문에, 흑돌을 둘 수 없는 착수 불가능한 경우가 된다. 이와 같이 착수 불가능한 경우 24가지를 제외하면 총 57가지 경우의 수가 나온다. 이는 전체 8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탓할 수는 없지요. 하지만 지나친 압박으로 인해 지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IMO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IMO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이 목표가 돼선 안 됩니다. 어른이 됐을 때 훌륭한 수학자가 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생각해야 되지요.올림피아드의 문제는 어렵지만 반드시 풀리는 문제입니다.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한눈에 찾아내려면 자료를 시각화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건 스포츠에서도 마찬가지다.실제로 아래의 야구 데이터를 살펴보자. 어느 팀이 가장 승률이 높은지, 타율이 높은지, 홈런을 가장 많이 치는지 표만 보고는 단번에 알기가 어렵다. 물론 일일이 따져서 보면 그 답을 쉽게 알 수 있다. ... ...
- 개미도 직업을 바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어릴 때는 양육을 하다가 더 크면 청소를 맡고 나이가 들면 수렵 활동에 나서 지요. 마찬가지로 집단생활을 하는 꿀벌이 순환업무를 한다는사실이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개미의 역할 순환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우와, 그럼 자라면서 생활환경이나 살아가는 방식도 휙휙 바뀌겠네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지구란 바로 이런 모습이다”라고 한번에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뇌지도도 마찬가지다. 물론 그 전에 두 지도를 각각 완성하는 게 먼저다. 그것만으로도 뇌는 무한한 공간이다.2. ‘네트워크’ 뇌에서 ‘항공로’를 찾는다“요즘 뇌과학에서는 ‘그래프 이론’이 대세입니다.”브레인 맵을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다른 주파수 성분들이 뇌의 청각피질에 있는 각기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 눈앞에 보이는 사진의 화소(픽셀) 하나하나도 뇌 시각피질의 각기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된다. 이런 현상을 각각 ‘음위상(tonotopy)’과 ‘시각위상(visuotopy)’이라고 한다. 만약 우리가 뇌지도를 ... ...
-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익혔기 때문이다. 즉, 처음에 배울 때 ‘동-서-동-동’으로 받아들이고, 뒤돌아서서도 마찬가지로 ‘동-서-동-동’으로 춘 것이다.두 나라의 기본적인 공간 감각이 문화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춤으로 확인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세상에 이런 춤도?!미국 캘리포니아 데안자대 수학과 칼 섀이퍼 교수와 ... ...
- 젊은이 부럽지 않은 꽃할배의 비밀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가 있으면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런 기억을 수개월~수년 이상 기억하는 장기 기억 능력도 마찬가지다. 당장 시험공부에는 약하겠지만 제대로 된 지식의 축적능력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없는 셈이다. 실제로 H4의 맏형 이순재는 올해초 보험광고에 출연하기 위해, 젊은 사람들도 30%나 탈락하는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주변에 있는 8개의 세포에 의해 다음 단계의 상태가 결정된다. 1차원 세포자동자와 마찬가지로 몇 가지 규칙이 있고, 초기값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음 단계가 진행된다. 생명게임은 처음 입력된 초기값만으로 컴퓨터 상에 다양한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전혀 변화가 없는 고정된 패턴, 일정한 행동을 ... ...
- [수학뉴스] 폭동과 쇼핑이 똑같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반응이 별로 없다가, 일정 가격 이하로 싸지는 순간 소비자가 확 몰리는 것이다.마찬가지로, 어떤 지역에서 ‘폭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선동자가 유리한 정도’와 로그 함수 관계인 것으로 나왔다. 예를 들어, 경찰이 특정 숫자 이하로 줄어서 선동자가 활동하기에 유리해지면, 그 순간에 폭동이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